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내년 예산안 심사자리서 지적
"도정에 유리한 방향 아닌 공정한 홍보 이뤄져야"

20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환경도시위원회 제3차 회의. [제주도의회 제공]
20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환경도시위원회 제3차 회의. [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제주형 수소트램' 도입 사업의 홍보 방식이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사업 자체가 어긋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김황국 의원(국민의힘, 용담 1·2동)과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2동을)은 20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제주도의 내년 예산안 심사 자리에서 '제주형 수소트램' 도입 관련 홍보 방식에 대한 우려점을 제시했다.

김황국 의원은 "제주형 수소트램 도입을 위한 절차가 복잡하고 실제 도입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 홍보가 먼저 이뤄지고 있다"며 "이 같은 모습은 내년 7월 내년 도입을 목표로 추진되다 결국 다음 도정으로 넘겨진 '제주형 행정체제개편' 홍보 방식과 오버랩된다"고 말했다.

이에 김영길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내년 3월 이후 트램도입과 관련한 경제성 분석, 예비타당성 조사 등이 이뤄질 것인데, 이 과정에서 도민 수용성이 아주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며 "때문에 내년이 트램 도입 추진에 아주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판단했다. 도민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야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관련 예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이런 홍보에 대해 찬성 쪽, 긍정적인 장점만 홍보해서는 안된다"며 "트램이 지나는 구간에 대한 교통 정체, 공사 기간 등에 대한 불편 등도 설명하는 홍보가 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동수 의원은 "제주형 트램 도입이 2032년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금 이를 홍보하기 위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인 든다"며 "제주도의 정책 홍보 방식이 '행정체제개편' 추진 이후로 심각하게 오염이 됐다. 결국 제주도가 유리한 방식으로만 예산을 쏟으면서 홍보를 하고 있다. 동등한 선에서 정보제공이 이뤄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해 제주도가 하는 방식으로 추진했다고 결국에는 안됐다. 트램도입도 이렇게 돼 버릴까 걱정이 된다"며 "이 예산이 통과될지 안될지 모르겠지만, 만약 예산이 반영돼 홍보가 이뤄진다면 공정한 홍보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