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 회의서 지적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21일 제444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회의를 열고 제주도의 내년 예산안을 심사했다. [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21일 제444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회의를 열고 제주도의 내년 예산안을 심사했다. [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제주의 핵심 산업인 관광 산업에 대한 예산 축소에 대한 제주도의회의 질타가 이어졌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위원장 고태민)는 21일 제444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회의를 열고 제주도의 내년 예산안을 심사했다.

이날 문광위는 제주도 관광교류국의 일반회계 예산 비중이 지난 2024년 0.73%에서 2026년 0.48%로 크게 줄어들고, 2025년 552억원이었던 일반회계가 2026년에는 373억원으로 178억원 감소하는 점 등을 문제 삼았다.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도민 10명 중 3명이 관광산업에 종사하고, 제주 경제의 뿌리가 관광인데, 도 전체 예산 중 관광 관련 일반회계가 0.48%에 불과하다는 것은 도민을 기만하는 일"이라며 "의회 통제를 받는 일반회계 대신,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높은 관광진흥기금에 편성 비중을 몰아주는 것은 책임 회피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어 "과가 불명확한 행사성·홍보성·유사중복 사업들이 기금으로 편성돼 예산의 취지를 훼손하고 있다"며 "기금 편성이 일반회계의 회피 수단으로 전락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태민 위원장(국민의힘, 애월읍갑)도 "제주의 관광산업은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관광 관련 일반회계 예산이 줄어드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예산이라는 것은 민선 도정의 철학과 의지를 보여주는 거울인데, 이대로 가면 관광을 도정이 경시하는 것처럼 비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특히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은 "관광산업은 제주 생존의 문제"라며 "도는 일반회계 예산을 관광교류국에 최소 1% 수준으로 확대하고, 집행률 70% 미만이거나 성과가 미흡한 사업은 과감히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