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제주웰컴센터서 실행연구 최종보고회 개최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제주형 주치의제 모델과 운영방안이 공개됐다.
제주도는 21일 오후 제주웰컴센터에서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실행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최종보고회에서는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등 주요 국가의 주치의 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제주 실정에 맞는 운영모델과 보상 구조가 제안됐다.
특히 연령·성별·질환 특성에 따른 차등 정액 보상, 성과 기반 보상, 다학제 인력 확충 등 해외 사례의 핵심 요소가 제주형 모델로 재구성돼 제시됐다.
또 시범사업의 제도 평가를 위한 장기적 평가 항목과 함께, 건강주치의 성과 보상을 위한 성과지표가 발표됐다.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건강 결과의 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과정·산출 중심의 성과평가 방식을 적용하고, 이를 차등 보상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제주형 주치의제의 핵심인 '10대 서비스'가 현장에서 충실히 제공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성과지표로는 건강평가 노력지표, 만성질환 관리(고혈압,당뇨병,천식,아동 비만 등) 적정성, 검진 결과 기반 건강관리 비율, 예방접종 비율, 건강·질병관리 상담·교육, 전화상담·원격의료 경험 비율, 방문진료 경험 비율, 진료 의뢰·회송 후 지속관리 건수, 요양·돌봄·복지 연계 건수 등이 제시됐다.
도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오는 12월 '2026년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내년부터 서비스 표준모델 확립과 지원센터 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제도의 질적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허영형 기자
hyh8033@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