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⑮]
간·숙취·관절·뼈 건강 효능
전통 약재의 재발견, 정밀 의약소재로의 도약
발효·증숙이 만든 고부가 바이오소재 혁신
남성 건강·항비만까지 확장되는 토종 자원의 잠재력

[제주도민일보 최지희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섬의 숲을 감싸 오르는 상록 덩굴, 멀꿀은 가을이면 달콤한 과육을 품은 채 익어가지만, 결코 스스로 속을 드러내지 않는 지조 있는 열매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아는 사람만 맛보던 이 '남도의 숨겨진 보물'이 오늘날에는 첨단 과학기술과 만나 그 무한한 잠재력을 세상에 펼쳐 보이고 있다.

멀꿀은  식물의 효능뿐만 아니라 지역의 자원이 어떻게 과학과 만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지를 보여주는 성공적인 사례로 전해지고 있다. 멀꿀 관련 특허의 상당수를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이는 전라남도가 지역의 고유한 생물자원인 멀꿀의 가치를 일찌감치 파악하고 체계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지역 특화 바이오 소재로 집중 육성했음을 의미한다. 멀꿀은 지역의 비전과 과학적 투자가 만나 탄생시킨 성공적인 K-바이오 자원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멀꿀. [국립생물자원관]
멀꿀. [국립생물자원관]

멀꿀의 줄기와 뿌리는 '야모과(野木瓜)'라 불리며 강력한 진통 효과로 명성이 높다. 현대 과학은 이 전통 지식을 더욱 정밀하게 파고들었고 이제 멀꿀은 막연한 진통제가 아닌, 관절염 치료(특허 10-1773318-0000), 뼈 및 연골 조직 생성 촉진(특허 10-2126575-0000) 등 특정 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전문 의약 소재로 거듭났다.

특히 잎에서 특정 플라보노이드와 카페인산 화합물을 분리해 그 효능을 입증한 것(영진약품, 특허 10-2038107-0000)은 민간의 경험이 첨단 과학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멀꿀의 가치는 원물에만 머무르지 않아 발효 기술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거나(특허 10-2387371-0000), 증숙(찌고) 및 원적외선 건조 처리(특허 10-2788309-0000) 같은 첨단 가공 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멀꿀이 1차 자원을 넘어 고도의 가공 기술이 집약된 '차세대 바이오 소재'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알려진 효능뿐만 아니라 현대 과학은 멀꿀이 가진 놀라운 효능들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증명해내고 있는데 첫째 멀꿀은 간 건강 분야에서 독보적인 효능을 보인다.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입증되어 다수의 특허(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가 등록됐으며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성분)으로 인한 간 독성 모델에서도 간 보호 효과(이규옥 외, 2018)가 확인되었다. 나아가 혈중 알코올 농도를 빠르게 낮추고 숙취를 해소하는 조성물로도 특허(10-1968891-0000)가 등록돼 현대인의 간 건강과 숙취 해소를 위한 최고의 천연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둘째 멀꿀은 염증 억제 효과를 바탕으로 관절염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약학 조성물로 특허를 획득했다. 더 나아가 뼈와 연골 조직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까지 밝혀져 퇴행성 관절 질환이나 골다공증 등 뼈 건강 전반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발효 과정을 거친 멀꿀은 골밀도 개선 및 키 성장 촉진용 조성물(특허 10-2625435-0000)로도 개발돼 성장기 어린이나 노년층 모두에게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셋째 멀꿀 추출물은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10-1652073-0000)가 있음이 밝혀졌고 특히 '산수유'와 복합 처방했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나 종근당건강에서 관련 특허를 등록하며 남성 건강 시장의 차세대 기능성 원료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밖에 멀꿀의 효능은 특정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강력한 항염 효과를 바탕으로 해열제로도 개발됐으며 체지방 감소 및 항비만 조성물(특허 10-2794048-0000)로도 특허가 등록되어 현대인의 만성 질환인 대사증후군 관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남도의 멀꿀은 달콤한 열매 속에 강력한 생명력을 감춘 보물 같은 식물이다. 지역의 뚝심 있는 연구와 투자를 통해 전통 의약 자원에서 출발해 간 건강, 뼈 관절, 남성 건강 등 현대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첨단 바이오 소재로 화려하게 비상하고 있다. 멀꿀의 이야기는 우리 땅에서 자라는 토종 자원의 가치가 무궁무진함을 보여주는 자랑스러운 증거이다.

[소재정보]

700m 이하의 남쪽 섬 바닷가에서 길이 15m, 지름 8cm 정도 자라는 상록 덩굴성 나무다. 줄기는 길이 15m, 직경 6cm 정도로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황백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꽃자루에 달리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 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다.

열매는 장과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는다. 으름덩굴과 달리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 전남, 경남, 충남 등, 주로 남해안 섬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의 난대 지역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한다.

멀꿀. [국립생물자원관]
멀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현황]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박윤점 외 8명,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5), 403~411(2009)

-멀꿀 종자의 프라이밍 처리가 발아 및 유묘 출현율에 미치는 영향

진언주, 이소라, 윤준혁, 농업생명과학연구, 49~57(2025)

-NaCl 처리에 따른 멀꿀과 다정큼나무의 내염성 평가

최수민 외 4명, 원예과학기술지, 31(5), 617~625(2013)

-멀꿀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모델에서의 간 보호효과

이규옥 외 4명, 생명과학회지, 28(6), 708~717(2018)

-몇 가지 상록활엽수의 차광정도에 따른 묘목품질

최수민 외 3명,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4), 265~271(2012)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이상철, 강현미, 박석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8(2), 127~142(2024)

-용초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김인택, 박태호, 최재은, 한국생태학회지, 28(4), 223~230(2005)

-인근도서(지심도, 내도, 윤돌도)의 자원식물상 연구

우복주 외 5명,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 479~489(2005)

-열매와 멀꿀 복합추출물의 항피로 평가

홍준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국내박사(2022)

-자생지별 외부형태학적 변이 및 환경특성

서진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국내석사(2017)

-멀꿀나무의 화학적 성분 연구

조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국내석사(2012)

-전립선 질환 치료효과가 있는 멀꿀(Stauntonia hexaphylla)과 산수유(Cornus officinalis)의 복합추출물에 대한 표준화 연구

Dan Gao 충남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국내석사(2019)

-활용을 위한 환경내성평가와 증식방법에 관한 연구

최수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임학 국내박사(2013)

비다 사포닉스 EX 필러 포션 [대동고려삼(주)]
비다 사포닉스 EX 필러 포션 [대동고려삼(주)]

[지적재산권]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열제 (A FEVER REDUCER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FRUIT LEAF EXTRACT)

| 등록번호 10-1243115-0000 (2013-03-06)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Noodles including Stauntonia hexaphylla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등록번호 10-2466759-0000 (2022-11-09) | 특허권자 양정열, 공병만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FRUIT LEAF EXTRACT)

| 등록번호 10-1221617-0000 (2013-01-07)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HEPATOPROTECTIVE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 등록번호 10-2011-0082498 ( 2011-08-18 )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멀꿀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FRUIT EXTRACT)

| 등록번호 10-1167589-0000 (2012-07-16)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Fermented Stauntonia hexaphylla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and uses thereof)

| 등록번호 10-2387371-0000 (2022-04-12) | 특허권자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증숙 및 원적외선 건조 처리한 멀꿀 추출물의 제조방법 (Method of preparation of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by steaming and far infrared drying)

| 등록번호 10-2788309-0000 (2025-03-25) | 특허권자 한방바이오 주식회사,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멀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skin-whitener containing extract of stauntonia hexaphylla)

| 등록번호 10-1922131-0000 (2018-11-20) | 특허권자 주식회사 제주올가

멀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Prostatic Diseases Compris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 등록번호 10-1652073-0000 (2016-08-23) | 특허권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HEPATO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FRUITS OF STAUNTONIA HEXAPHYLLA FOR PREVENTING ALCOHOLIC LIVER INJURY)

| 등록번호 10-1706017-0000 (2017-02-06)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COMPOSITION FOR STIMULATING BONE OR BONE TISSUE COMPRISING EXTRACTS OF LEAVES OF STAUNTONIA HEXAPHYLLA)

| 등록번호 10-1652206-0000 (2016-08-23)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천연발효효소액을 이용한 항염,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멀꿀-구연산 복합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Composite fermented Stauntonia hexaphylla-citric acid with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or antiviral function using natural fermented enzyme solu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등록번호 10-2508443-0000 (2023-03-06) | 특허권자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공병만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RTHRITIS COMPRISING STAUNTONIA HEXAPHYLLA LEAF EXTRACT)

| 등록번호 10-1773318-0000 (2017-08-24)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diseases compris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and Cornus officinalis as active ingredients)

| 등록번호 10-2167290-0000 (2020-10-13) | 특허권자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HANGOVER COMPRISING EXTRACTS OF FRUITS OF STAUNTONIA HEXAPHYLLA)

| 등록번호 10-1968891-0000 (2019-04-08), 10-1968812-0000 (2019-04-08) | 특허권자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reducing body fat or anti obesity compris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등록번호 10-2794048-0000 (2025-04-07) | 특허권자 한방바이오 주식회사,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Fermented Stauntonia hexaphylla using a natural fermented enzyme complex and a composition for bone density improvement, bone growth promotion, height growth promotion or joint health promotion using the same)

| 등록번호 10-2625435-0000 (2024-01-11) | 특허권자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공병만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mprovement of bone tissue generation or cartilage tissue generation comprising purified fraction materials from Stauntonia hexaphylla leaves or flavonoid compounds and caffeic acid compounds separat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s)

| 등록번호 10-2126575-0000 (2020-06-18) | 특허권자 영진약품 주식회사,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Fermented Stauntonia hexaphylla for hangover relief, alcoholic liver disease or liver function improvement using fermented enzyme complex solution containing traditional brewery yea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등록번호 10-2507651-0000 (2023-03-03) | 특허권자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공병만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mprovement of bone tissue generation or cartilage tissue generation comprising purified fraction materials from Stauntonia hexaphylla leaves or flavonoid compounds and caffeic acid compounds separat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s)

| 등록번호 10-2241369-0000 (2021-04-12) | 특허권자 영진약품 주식회사,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카페인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Novel caffeic acid compound from Stauntonia hexaphyll leaf extract and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mprovement of bone tissue generation or cartilage tissue generation)

| 등록번호 10-2038108-0000 (2019-10-23) | 특허권자 영진약품 주식회사,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Novel flavonoid compound from Stauntonia hexaphyll leaf extract and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mprovement of bone tissue generation or cartilage tissue generation)

| 등록번호 10-2038107-0000 (2019-10-23) | 특허권자 영진약품 주식회사,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아유르베다의 신체구성요소(바타)에 따른 생약초를 이용한 에센셜오일 조성물 (Essential Oil Composition Using Herbal Herbs According to Ayurvedic Body Components(Vata))

| 출원번호 10-2022-0055407 ( 2022-05-04 ) | 출원인 장흥군, 장흥군신활력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아유르베다의 신체구성요소(카파)에 따른 생약초를 이용한 에센셜오일 조성물 (Essential Oil Composition Using Herbal Herbs According to Ayurvedic Body Components(Kapha))

| 출원번호 10-2022-0055409 ( 2022-05-04) | 출원인 장흥군, 장흥군신활력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위염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서사향을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Musk rat Musk having inhibitory effect on Alcohol induced Liver Damage and Gastritis)

| 출원번호 10-2023-0130833 ( 2023-09-27 ) | 출원인 주식회사 한웅

아유르베다의 신체구성요소(바타)에 따른 생약초를 이용한 캐리어오일 조성물 (Carrier Oil Composition Using Herbal Herbs According to Ayurvedic Body Components(Vata))

| 출원번호 10-2022-0055404 ( 2022-05-04 ) | 출원인 장흥군, 장흥군신활력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생약초를 이용한 기능성효과를 갖는 피부보호크림 조성물 (Skin protection cream composition with functional effect using herbal medicine)

| 출원번호 10-2022-0055410 ( 2022-05-04 ) | 출원인 장흥군, 장흥군신활력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