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28일 학술세미나 개최

[제주도민일보 최지희 기자]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관장 박찬식)은 오는 28일 오후 1시 30분 박물관 시청각실(모다들엉관)에서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읽는 지역의 기억’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현재 진행 중인 제155회 특별전 ‘식민의 시선, 제주 풍경’과 연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서는 일제강점기 제주·대구·부산·인천 등에서 제작된 사진엽서를 학술적으로 검토하며 근대 시기 각 지역의 정체성과 시각적 재현 방식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비교·고찰한다. 사진엽서는 제국의 시각문화 정책과 지역의 사회·경제·문화적 특성이 집약된 대표적인 근대 시각자료로, 최근 지역사 연구와 전시 기획에서 사료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1부와 2부, 특별세션으로 구성되며 각 지역사와 시각문화를 연구해 온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선다.

1부에서는 제주와 대구 사례가 소개된다. 제주기록문화연구소 하간 고영자 소장은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본 제주 문화 엿보기’를 통해 사진엽서 속에 담긴 제주의 근대 이미지 형성과 문화적 맥락을 짚는다. 이어 대구근대역사관 황수진 학예연구사는 ‘대구근대역사관의 근대 사진엽서 수집과 활용’을 주제로 대구 지역 근대 사진엽서 아카이브 구축 과정과 활용 방안을 공유한다.

2부에서는 부산과 인천을 조명한다. 부산근현대역사관 김기용 관장은 ‘부산근현대역사관 소장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본 부산의 사회상’ 발표를 통해 당시 부산의 도시·사회 변동상을 살펴본다. 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문순희 선임연구원은 ‘사진엽서와 안내서로 본 인천의 명소와 근대 관광’을 통해 인천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과 근대 관광문화의 성립 양상을 분석한다.

특별세션에서는 고려학술문화재단 박환 이사장이 ‘제주 해녀 출신 백곤차, 멕시코 한인독립운동 참여’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제주 해녀의 이주와 노동, 그리고 멕시코 한인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의 서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제주 여성사의 또 다른 단면을 조명할 예정이다.

박찬식 관장은 “일제강점기 각 지역 이미지의 형성과 변용을 비교사적 시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제주를 포함한 지역별 시각자료 아카이브 구축과 향후 전시·교육 콘텐츠 개발, 근대 지방사 연구와 지역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