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

14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 [제주도의회 제공]
14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 [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서광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 섬식 정류장 도입 과정에 놓친 부분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14일 열린 제444회 제주도의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정민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삼도1·2동)의 관련 질의를 받고 "제주의 BRT사업은 처음 상대식 정류장이라는 이름으로 전 도정에서 시작됐고, 제가 당선자였던 시절 이미 서광로 BRT사업은 확정된 상태였다"며 "취임 전부터 인도 폭 축소 등의 문제로 시민단체나 환경단체가 들고 있어났고, 취임 후에는 오영훈 도정이 '사람 중심의 대중교통 정책'을 하겠다는데 어떻게 된 것이냐는 문제제기가 지속됐다. 그 문제제기에 공감해 사업을 보류하고 국토부 산하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에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것이 '섬식 정류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다른 국가에서 이미 섬식 정류장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고, 이 시스템이 더 본연의 BRT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맞겠다고 판단했다"며 "섬식 정류장 도입에 필요한 양문형 버스 도입을 위한 여건도 함께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그러면서 "제가 놓친 부분은 중앙로 BRT노선을 보고 서광로에 섬식 정류장을 도입했을 때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서광로 구간은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고, 시외버스가 많이다닌다는 점에서 중앙로 구간과 차이를 놓쳤다"며 "결국 이로인해 중앙로와의 구조 차이로 1차로와 3차로를 버스가 다 점령하게 되는 밀집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또 양문형 버스로 교체하는 시간과 투자 비용에 대한 고려도 부족했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동광로 BRT 구간 공사는 잠시 보류한 상태"라며 "양문형 버스를 확보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투자에 대한 검토와 차로 운영 개선을 위한 설계 변경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오 지사는 "이번 사업을 추진하면서 자가용 이용자들의 의견을 더 폭넓게 수렴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절차상 설명을 드리는 과정에서 부족함이 있었던 부분에 대한 도민들의 양해를 구한다"며 "앞으로 이런 부분을 더 보안해 이번 사업이 교통 혁신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