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⑬]
전통 생활 자원, 세탁·세안에 활용된 천연 비누
사포닌의 효능, 가래·기침 완화와 피부 질환 치료
꽃말과 이름, ‘베푸세요·추억’이 전하는 문화적 의미
학술적 기록과 근연종 구별로 본 식물학적 가치

[제주도민일보 최지희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은 오랜 역사와 실생활에 유용한 효능을 지닌 흥미로운 식물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비누를 만들거나 세안에 사용될 정도로 세정력이 뛰어나다. 비누풀의 뿌리와 잎에는 사포닌이라는 특별한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 사포닌은 물과 만나면 거품을 내는 천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한다. 과거 사람들은 이 식물을 으깨어 세탁이나 목욕에 사용했고, 지금도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비누를 만들어 쓰고 있다. 사포닌은 기름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항균 작용을 통해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전염병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비누풀. [서울식물원]
비누풀. [서울식물원]

또한 비누풀은 약용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는 거담 작용이 있어 기관지염에 유용하며, 여드름이나 습진 등 피부 질환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소염 작용을 통해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완화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비누풀은 영어로 'Soapwort'나 'Bouncing-bet'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Bouncing-bet'이라는 별명은 꽃의 모양과 특징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처럼 비누풀은 실용적인 쓰임새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이름과 이야기 속에서 사람들의 삶과 함께해 온 식물이다. 비누풀의 꽃말은 '베푸세요' 또는 '추억'이다. 거품으로 깨끗함을 베풀고,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비누풀의 의미를 잘 담고 있다. 이처럼 비누풀은 단순한 야생화를 넘어, 인류의 위생과 건강에 기여하고 문화적인 이야기까지 품고 있는 제주의 소중한 자연 자원이다.

비누풀. [국립생물자원관]
비누풀. [국립생물자원관]

[소재정보]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L.)은 석죽과(Caryophyllaceae) 비누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식물분류상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에 위치하며 서아시아와 유럽 원산의 관상식물이다. 뿌리줄기는 많이 갈라지고 전체적으로는 가늘게 뻗지만 흰색의 근경이 비후하는 경향이 있고, 줄기는 대개 털이 없으며 높이 30–90 cm까지 자라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상 피침형(난형~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5–10 cm, 너비 2–4 cm,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3갈래의 주맥이 뚜렷하다.

6~9월 줄기 끝에 흰색 또는 연분홍·자주빛 꽃이 밀추꽃차례로 모여 피고, 피침형 포엽과 길이 3–8 mm의 약간 털 달린 꽃자루를 가지며, 녹색(때로 암자색) 통 모양 꽃받침은 길이 1.8–2.0 cm, 5갈래의 난형 열편 끝이 뾰족하고, 꽃잎은 5장에 갈래 길이 1.0–1.5 cm이며 수술 10개와 2갈래 암술대가 화관 밖으로 돌출된다.

열매는 길이 약 1.5 cm의 삭과로 꽃받침에 싸여 달걀모양을 이루고 씨는 검은 갈색에 길이 약 2 mm이다. 근연종으로 말뱅이나물(Saponaria vaccaria)이 있으며, 이는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잎이 분백색을 띠고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싸는 점으로 비누풀과 구별된다.

약산성 클렌징폼. [브로컬리컴퍼니]
약산성 클렌징폼. [브로컬리컴퍼니]

[연구현황]

-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non-polar fraction of Saponaria officinalis L.

유가람,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2022)

- 비누풀 잎 추출물로부터 천연 계면활성제 개발

장아름 외, KSBB Journal, 28(3), 202-207(2013)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노랑도깨비바늘과 비누풀

이유미 외, 식물 분류학회지, 40(4), 240-246 (2010)

엑티비티 프로바이오틱스 에센스 [루나벨라]
엑티비티 프로바이오틱스 에센스 [루나벨라]

[지적재산권]

- 비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1-0077147(2021.06.15.) | 출원인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 비누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09-0030616(2009.04.09.) | 출원인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5-0114227(2015.08.13.) | 출원인 인코스(주)

- 결명자, 퀼라자, 쇠뜨기, 왕질경이, 비누풀 및 실버위드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4-0149722(2024.10.29.) | 출원인 바이오에프디엔씨

- 돌외, 비누풀 및 금은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1-0115542(2021.08.31.) | 출원인 주식회사 닥터에이

엑티비티 프로바이오틱스 크림 [루나벨라]
엑티비티 프로바이오틱스 크림 [루나벨라]
트리플 클렌징 오일 [유엔아이제주]
트리플 클렌징 오일 [유엔아이제주]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