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⑫]
불란지 빛 닮은 꽃, 반딧불이의 추억과 맞닿다
거친 바람·염분 견디는 강인한 생존 전략
파란빛에서 자주빛으로…희생과 새로운 시작의 상징
왕실 물감 재료·약재로 쓰인 전통 지식의 흔적
[제주도민일보 최지희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제주에서는 반딧불이를 '불란지'라 부르는데 반디지치의 꽃이 바로 이 불란지의 빛을 닮았다고 해 이름이 붙여졌다. 30~40년 전 제주에서는 여름밤에 쉽게 볼 수 있었던 반딧불이처럼 반디지치 역시 풀섶 속에 내려앉은 파란 별을 닮아 제주 사람들의 추억과 맞닿아 있다. 제주에서는 서쪽 모슬포에서 동쪽 성산포 해안까지, 그리고 바다와 인접한 몇몇 오름의 햇볕이 잘 드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생하며 올레꾼들에게 아름다운 사진 소재가 되기도 한다.
거친 바람과 염분을 견디는 줄기와 잎의 억센 털은 제주 환경에 적응한 생존 전략을 보여주며 꽃이 진 뒤 땅에 닿아 뿌리를 내리는 습성은 바람이 센 섬의 식물다운 강인함을 드러낸다. 한 포기 안에서 파란색에서 자주색으로 변하는 꽃의 색상과 햇살에 반짝이는 흰 능선은 '풀밭 속 작은 파란별'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이름 속의 '지치'는 염색 재료로서의 지치와 연결되고 '반디'는 과거 제주 들판을 수놓던 반딧불이의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반디지치의 꽃말은 '희생'이다. 이는 곤충들이 꽃잎을 뜯어내면서도 후손을 이어가려는 식물의 의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신을 희생하여 더 큰 것을 이루려는 반디지치의 모습에서 사람들은 희망과 새로운 시작의 의미를 찾기도 한다.
또한 지치과 식물은 예로부터 보라색 염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는데 반디지치 뿌리 역시 왕실에서 물감의 재료로 쓰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열매는 약재로 쓰여 지선도(地仙桃)라 불렸으며 소화불량, 명치 통증,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고, 타박상이나 골절, 피부병 치료에도 활용했다는 구전이 있으나 이는 전통 지식의 영역으로 현대 의학적 검증은 제한적이다. 반디지치는 이처럼 제주의 자연과 사람들의 기억, 그리고 끈질긴 생명력을 품고 있는 소중한 지역 자원이다.
[소재정보]
반디지치는 지치과(Boraginaceae) 지치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Lithospermum zollingeri A.DC.이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해안가 모래땅에서 자생한다. 식물 이름은 일본명 '호타루카즈라(ホタルカズラ, 반딧불이 덩굴)'에서 유래했는데 꽃을 반딧불이에 비유하고 뿌리는 보라색 염료 식물인 지치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다. 억센털개지치, 깔깔이풀 등으로 불리는 이유는 높이 15-25cm의 가늘고 곧은 줄기와 잎 전체에 거친 털이 많기 때문이다.
꽃은 육지에서는 5~6월에 피지만 제주에서는 4월 중순경부터 피기 시작한다.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달리며 처음에는 남색 또는 파란색으로 피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붉은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꽃잎은 다섯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을 이루며, 중앙부에 흰색 능선이 있어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열매는 흰색의 매우 단단한 소견과(小堅果)로 학명 Lithospermum이 그리스어로 '돌 씨앗'을 뜻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 매우 단단하다.
[연구현황]
- 목화다래와 지치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개발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뿌리의 망막세포 보호효과에 대한 연구
강태겸, 강릉원주대학교 (2018)
- 지치뿌리로부터 분리한 Acetylshikonin의 LDL 산화 저해활성과 FPTase 저해활성
김금숙 외,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2(4), 221-225 (2009)
- 지치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이황희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9), 1325-1329 (2005)
- 지치 유래 naphthoquinone을 전처치한 생쥐에서 우울 및 불안 조절 효과
제현동,민영실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7, 116-121(6쪽)
- RAW264.7 대식세포에서 MAPK 및 NF-κB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황기 및 지치 복합물의 항염증 효과
최두진 외,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3(4), 421-428 (2020)
- 지치 초고압 추출물의 미백활성 증진
김지선 외,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2), 97-102 (2011)
- 기능성 바이오 천연소재인 지치(자초)의 고함량 폴리페놀 추출 효율성 확보를 위한 친환경 무알콜 효소공법 개발
파나세아코리아/중소벤처기업부, 2024, 창업성장기술개발, 2420002126(과제고유번호)
- 지치캘러스 유래 PDRN 소재 해외 원료 등록 및 글로벌 상용화를 위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주)스페바이오/보건복지부, 2025,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R&D), 2460004668(과제고유번호)
- 지치 추출물을 이용한 과민면역 억제를 통한 코 상태 개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
코스맥스엔에스(주)/산업통상자원부, 2023, 강소벤처형중견기업육성, 1415189146(과제고유번호)
- 지치 유래 HIF-1α 활성화 성분 Deoxyshikonin을 활용한 상처치료제 연구
가천대학교/교육부, 2017,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1345268564(과제고유번호)
[지적재산권]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눈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7-0126306(2017.09.28.) |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치 캘러스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고, 피부 섬유아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4-0165655(2024.11.19.) | 출원인 주식회사 스페바이오
- 지치 캘러스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 출원번호 10-2024-0165667(2024.11.19.) | 출원인 주식회사 스페바이오
- 지치 캘러스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처회복 촉진용 피부 외용제
| 출원번호 10-2024-0165649(2024.11.19.) | 출원인 주식회사 스페바이오
-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지치 뿌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2-0009884(2022.01.24.) | 출원인 주식회사 다인소재
- 지치 현탁배양 세포에서 시코닌 유도체를 생산하는 방법
| 출원번호 10-2023-0186260 (2023.12.19.) | 출원인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6-0071009(2016.06.08.) | 출원인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지치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지치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24-0108776(2024.08.14.) | 출원인 주식회사 스페바이오
-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3-0033416(2023.03.14.) | 출원인 (주)엔비바이오컴퍼니
- 지치 추출물을 이용한 망막질환 개선용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6-0083497(2016.07.01.) |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치 뿌리의 천연 색소를 함유하는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출원번호 10-2012-0005085(2012.01.17.) | 출원인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1-0044052(2011.05.11.) | 출원인 남종현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1-0044238(2011.05.11.) | 출원인 남종현
-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1-0044109(2011.05.11.) | 출원인 남종현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