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⑪]
전통 한의학 약재, 감기·비염·관절통에 활용
독성 관리와 포제 지혜로 안전성 확보
항염·항산화 성분, 화장품 원료로 확장
찍찍이 발명·범죄 수사까지 세계와 연결

[제주도민일보 최지희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제주에서는 도꼬마리를 ‘개조베기·조부래기’라 부르며 길가나 밭둑에서 따서 친구 옷에 던지며 놀던 기억이 많은 만큼 삶 가까이에 있던 잡초였다가 환경이 달라지며 보기 드물어졌고 어느 날 갑마장길에서 문득 마주친 반가움이 제주 사람들의 정서와 맞닿아 있다.

한의학에서 도꼬마리 성숙 열매는 창이자(蒼耳子)라 하여 Xanthium strumarium L.을 원식물로 삼고 발산풍한약으로 분류돼 외부 사기(表邪)로 인한 감기 유사 증상을 풀어주며 통비규(通鼻竅) 작용으로 끈적한 콧물이 흐르는 비연(축농증)에 쓰인다고 전해진다.

창이자. [국립생물자원관]
창이자. [국립생물자원관]

또한 풍습(風濕)을 없애 머리·무릎·발목의 통증과 저림을 덜고 피부 습진과 가려움에도 응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다만 두통·관절통의 원인이 혈허일 때는 금하고 독성이 있으므로 대량 내복은 위험하다는 경계가 따라붙는다. 도꼬마리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지니며 전통 문헌에는 관절·근육통, 미릉골통, 피부질환(종기·옴·습진), 비염·축농증, 나아가 간열로 눈을 맑게 한다는 서술까지 남아 있고, 현대 연구는 항균·항염·항산화 가능성과 요오드 등 성분 특성을 근거로 화장품 원료 탐색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독성 측면에서 유묘·종자에 많은 carboxyatractyloside(CATR)가 간·신장 독성과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통적으로 볶거나 데치는 포제를 전제로 하되 오늘날에는 효소 발효·가공표준 같은 안전성 관리가 필수이며 체질·증상에 맞춘 전문가(한의사) 진단과 배합이 효과와 안전의 관건이다. 실제로 제주 사례에서도 기허가 원인으로 판별되자 보기약을 군약으로 배합해 창이자를 더했을 때 호전을 보았다는 경험담이 전해진다.

제주 스토리는 생활 언어와도 이어져 껍데기처럼 붙는 열매를 빗대어 일상의 표현을 낳았고 스위스의 Georges de Mestral이 사냥개 털에 들러붙는 이 열매를 관찰해 ‘Velcro(찍찍이)’를 발명한 사연은 제주 바람과 들풀에서 세계적 생물모방 기술이 싹텄다는 상상력을 더한다. 열매의 갈고리 가시는 의복·동물 털에 끈질기게 달라붙어 종자를 퍼뜨릴 뿐 아니라 야외 범죄 수사에서 옷단·주머니에 남은 씨앗이 현장 연계 증거가 되기도 한다.

이름 유래도 흥미롭다. 생약명 창이자(쥐 귀처럼 생긴 열매라는 고전적 비유에서 온 한자어)에서 소리 변화를 거쳐 도꼬마리로 굳어졌다는 설이 전하며 바람 센 제주에서 흔하던 이 식물이 이제는 보전과 안전한 약용의 균형 속에 제주어·기억·치유를 잇는 지역 자원으로 다시 읽히고 있다.

창이자. [국립생물자원관]
창이자. [국립생물자원관]

[소재정보]

도꼬마리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약용 원식물은 주로 Xanthium sibiricum Patrin ex Widder로 다루며 문헌에 X. strumarium 복합체나 이명이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식물체는 높이 50–150cm까지 곧게 자라며 줄기에는 짧은 털과 함께 녹색 바탕 위에 흑자색 반점이 흔히 나타나고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넓은 삼각형~난형(길이 4–12cm, 너비 3–10cm)으로 표면이 거칠고 3출맥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를 지니고 얕게 3갈래로 갈라진다.

8–10월 줄기와 가지 끝에 느슨한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황색 기운의 두상화를 피우는데 자웅동주로 수꽃 머리모양꽃은 둥글게 화서의 윗부분에, 암꽃은 아랫부분에 달리며 결실 시 암꽃의 총포가 타원형의 가시 열매로 변해 표면에 갈고리 모양 가시와 거친 털·선모가 나 의복이나 동물 털에 잘 부착되고 끝에는 2개의 부리가 발달하며 내부에 2개의 수과(씨)를 품는다.

강변·길가·황무지 등 교란지에서 잘 자라는 1년생으로 전 세계 온대에 널리 분포하며 동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에서도 흔하고, 한반도에서는 외래 도입 후 토착화된 잡초로 보고된다. 전초와 열매는 민간에서 피부 증상 등에 이용되어 왔고 열매는 한약재 ‘창이자’로 쓰이나 약용은 완숙 건조 과실 등 원료·부위 구분과 안전성 관리가 전제돼야 한다.

제주 스테비아 앰플. [브이에스신비]
제주 스테비아 앰플. [브이에스신비]

[연구현황]

- 인간피부세포 및 피부재현모델을 이용한 창이자(蒼耳子)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효능 연구

송은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 3T3-L1 세포에서 Adipogenesis조절을 통한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 열매 열수 추출물의 지방합성 억제 효과

이은지,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2)

- Hepatotoxicity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duced by ethanol extracts of Xanthii fructus and its constituents in chang liver cells

장수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도꼬마리추출물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

이나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 도꼬마리의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유도 억제 활성 성분

윤정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 창이자의 물사마귀에 대한 효능

박영선,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2)

- 기능성 증진을 위한 치자색소와 창이자에 의한 견직물의 복합염색

배정숙 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1), 112-119 (2019)

-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신선우 외,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5(4), 372-378 (2012)

- 창이자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생쥐의 비장 세포 Th17의 세포분화 억제에 따른 아토피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

김금란 외, KSBB Journal, 24(4), 383-392 (2009)

- 도꼬마리 지상부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항생물질 활성

민영실, 한약응용학회지, 12(2), 15-19 (2012)

- 도꼬마리 부위별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이연리, 한국식품영양학회, 26(4), 609-614 (2013)

- 도꼬마리 유효물질에 의한 간 손상 보호

계명대학교/교육부, 2017,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1345267122(과제고유번호)

- 창이자(蒼耳子) 추출물의 염증성 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와 기전 연구

명지대학교/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2710063462(과제고유번호)

- 동물모델에서 창이자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및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

명지대학교/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2340045720(과제고유번호)

- 두릅과 창이자를 이용한 눈 건강증진 식품 소재 발굴 및 개별인정형 기능성 제품 개발 연구

(주)메드빌/농림축산식품부, 2019,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R&D), 1545020465(과제고유번호)

- 창이자를 이용한 당뇨 및 당뇨합병증 억제효능의 천연물신약 기반연구

한림대학교/중소기업청, 2011, 산학연협력기술개발, 1425068596(과제고유번호)

제주 용암해수 앰플 마스크팩. [브이에스신비]
제주 용암해수 앰플 마스크팩. [브이에스신비]

[지적재산권]

- 한국산 큰 도꼬마리 열매의 다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개선 고형 샴푸 바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23-0054462(2023.04.26.) | 출원인 주식회사 에스원제약

- 울산도깨비바늘, 짚신나물 및 도꼬마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4-0151943(2024.10.31.) | 출원인 (주)코바스

- 도꼬마리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12-0028595(2012.03.21.) | 출원인 (주)씨드코스메틱

-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19-0131061(2019.10.22.) | 출원인 (주)성원화장품

- 도꼬마리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3-0181649(2023.12.14.) | 출원인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 도꼬마리로부터 분리한 아폽토시스 저해효과를 나타내는화합물

| 출원번호 10-2004-0018331(2004.03.18.) |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 출원번호 10-2018-0027007(2018.03.07.) | 출원인 김수현

- 창이자(도꼬마리)추출물을함유하는자유라디칼소거화장료

| 출원번호 10-1997-0046262(1997.09.09.) | 출원인 주식회사 참존

- 창이자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 출원번호 10-2010-0058258(2010.06.18.) | 출원인 (주)내츄럴코리아

- 로스팅된 창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2-0048240(2022.04.19.) | 출원인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창이자를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20-0146442(2020.11.05.) | 출원인 이민아

- 창이자 다당체의 제조방법 및 그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7-0025817(2017.02.27.) | 출원인 주식회사 더마랩

- 창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출원번호 10-2017-0136538(2017.10.20.) |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