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⑥]
항산화 활성·항염증 효과 확인...남성 건강을 위한 차세대 소재로 주목
야생에서 채취하는 나물 아닌 대량생산 가능한 고부가가치 작물로 변모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

다른 식물이 살기 힘든 환경에서 오히려 더 빛을 발하는 나문재는 소금땅의 한계를 기회로 바꾼 생명의 연금술사이다. 나문재는 소금을 견디는 것을 넘어, 소금을 자신의 생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똑똑한 ‘염생식물'이다. 수많은 연구(김지영 외, 2019; 남유경 외, 2007)에서 나문재가 높은 염분 농도에서도 꿋꿋하게 자라는 생리적 특성이 증명되었다. 이는 나문재가 소금기 머금은 미네랄과 유효성분을 풍부하게 축적할 수 있는 비결이며, 나아가 기후 변화로 인해 토양 염류화가 문제 되는 미래에, 나문재의 내염성 유전자(셀밤, 2013)는 새로운 농업 가능성을 여는 중요한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과거 갯가에서 채취해 무쳐 먹던 '갯솔나물'은 이제 현대 식탁을 풍성하게 하는 ‘기능성 식품 소재' 진화하고 있다. 나문재 분말을 첨가해 항산화 활성을 높인 떡(박경숙, 2020), 스펀지케이크(안호기 외, 2016), 그리고 최근에는 영양과 풍미를 더한 식빵(홍근주 외, 2024)까지 개발되었다. 특히, 나문재를 넣어 발효시킨 된장이 뛰어난 항염증 활성을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져 특허(농촌진흥청, 10-2226144-0000)로 등록된 것은, 나문재가 전통 발효식품과 만나 그 가치가 배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나문재의 산업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이제는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재배 기술' 연구가 활발합니다. 씨앗의 발아율을 높이는 ‘프라이밍(Priming) 처리 기술' 이나 기계 파종을 위한 '종자 펠렛팅(Pelleting) 기술'(성필모 외, 2020) 개발은 나문재가 더 이상 야생에서 채취하는 나물이 아닌, 대량생산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작물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문재는 유해산소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항산화 활성이 매우 뛰어나 일찍부터 관련 특허(㈜생그린, 10-0800432-0000)가 등록되었다. 또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나문재 추출물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된장과 결합했을 때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길나영 외, 2019)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나문재는 남성 특화 건강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나문재 추출물이 탈모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가능성(특허출원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외, 10-2022-0175427)이 제시었으며 탈모와 더불어 중년 남성의 고민인 전립선 비대증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특허출원(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외, 10-2023-0084261)이 되어  남성 건강을 위한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 나문재 추출물은 혈액이 굳어 생기는 혈전(피떡)을 막는 혈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특허(㈜파이토코퍼레이션, 10-1719612-0000)를 획득하여 혈관 건강 소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와 더불어 유해균에 저항하는 항균성 조성물로도 특허(㈜파이토코퍼레이션, 10-1715622-0000)가 등록되어 다방면에 걸친 활용이 기대된다. 나문재는 척박한 해안가에서 소금기를 이겨내며 스스로를 단련시킨 '자연의 연금술사'라 할 수 있다. 단순한 갯나물에서 출발하여 기능성 식품, 첨단 농업 기술, 그리고 남성 건강과 혈관 질환을 아우르는 바이오 소재에 이르기까지, 나문재의 이야기는 척박한 환경 속에 숨겨진 무한한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생명의 서사시이다. 

나문재. [국립생물자원관]
나문재. [국립생물자원관]

[소재정보]

바닷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고, 높이 30-90cm이다. 잎은 빽빽하게 어긋나며 다육질이고, 선형으로 길이 1-5cm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거나 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녹색이다. 화피는 5장,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조금 납작하며, 씨가 1개씩 들어 있고, 화피가 남아 별 모양으로 된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갯솔나물이라고도 한다.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장에 있어 염도, 온도, CO₂ 농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서해안과 제주도에 나며,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 몽골 등에 분포한다.

나문재. [국립생물자원관]
나문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현황]

­ 나문재 추출물의 성분 분석  

  양희정, 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지, 34(3), 157~165(2008)

­ 나문재속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  

  심현보, 정주영, 최병희, 식물분류학회지, 31(4), 383~387(2001)

­ 나문재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안호기, 조승균, 홍금주, 한국조리학회지, 22(3), 1~10(2016)

­ 한국산 나문재속의 종내·종간 RAPD marker 변이  

  심현보, 최병희, 식물분류학회지, 34(1), 63~74(2004)

­ 나문재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수남, 전소미, 안정엽, 대한화장품학회지, 33(4), 231~238(2007)

­ 나문재 분말과 추출물 첨가 절편의 항산화 활성 

  박경숙,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3(5), 561~569(2020)

­ 나문재 종자의 priming 처리 조건 구명

  성필모, 송은지, 정남진, 한국작물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염생식물 나문재의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 

  김지영 외 3명, 한국작물학회지, 64(1), 48~54(2019)

­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장반응 

  남유경, 백정애, 장매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5), 349~352(2007)

­ 함초(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박수남 외 3명, 대한화장품학회지, 33(3), 145~152(2007)

­ 염생식물 나문재의 여러 가지 환경 조건 하에서의 종자 발아 및 초기생장특성  

  권혁규 외 3명, 한국작물학회지, 61(3), 222~226(2016)

­ 나문재 유묘에서 내염성 관련 대사체 분석

  성필모, 송은지, 정남진, 한국작물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염생식물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MIQ)의 이화학적 성분 조성 

  이영근, 이윤신, 정은경,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3), 452~457(2010)

­ 대식세포에서 나문재 분말을 함유한 된장의 항염증 효과 

  길나영 외 3명,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2(6), 651~661(2019)

­ 마우스 회장 운동에 대한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MIQ) 추출물의 효과 

  송재찬 외 7명, 대한수의학회지, 46(4), 323~326(2006)

­ 염생식물나문재의 생육특성과 이용가능성  

  이봉호 외 4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87~93(2002)

­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리적 변화

  장매희 외 5명, 한국작물학회 2007년도 6회 오송 국제바이오심포지움

­ 나문재 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홍근주, 김명희, 식공간융합연구지, 19(2), 53~64(2024)

­ 나문재 종자의 기계화파종 및 출아율 향상을 위한 pelleting기술 개발

  성필모, 송은지, 이덕배, 한국작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나문재(Suaeda glauca (Bunge) Bunge) 추출물과 분획물의 효능에 관한 연구  

  이광수, 박경숙,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2(6), 581~588(2019)

­ 마우스 회장 운동에 대한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MIQ)추출물의 효과  

  김태완 외 7명, 대한수의학회지, 323~326(2006)

­ 엽록체 DNA 및 핵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한국산 나문재속(명아주과)의 분류학적 연구 

  김석규, 정상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2(6), 566~574(2018)

­ 나문재 첨가량을 달리한 반죽의 물성 및 식빵의 품질 특성 

  홍근주, 이인옥, 한국조리학회지, 30(3), 35~44(2024)

­ 염생식물 나문재(Suaeda glauca)의 염농도 및 염농도 변화에 따른 광합성 효율

  김지영 외 3명, 한국작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CO2 농도와 온도상승이 칠면초, 퉁퉁마디, 해홍나물 그리고 나문재의 생육 반응 및 개체군 재생율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외 7명, 한국하천호수학회지, 53(3), 295~303(2020)

­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수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관한 연구 

  김창환, 조두성, 이경보,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관한 연구 

  김창환 외 3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99~310(2006)

­ 퉁퉁마디뿔나방 월동 서식처와 발생동태  

  백채훈 외 4명,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2(2), 71~74(2013)

­ 내염성 식물의 탐색 및 생물학적 염해 모니터링 기술의 개발 1. 염해지 식생분석 및 식물종의 내염성 평가 

  강병화, 심상인, 한국환경농학회지, 17(1), 26~33(1998)

­ 부안댐 기수역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오현경 외 3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311~318(2006)

­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이용호 외 5명, 한국환경생물학회지, 34(1), 41~47(2016)

­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매립예정 간척지토양의 잡초발생 양상변화 

  엄경란 외 7명, 한국작물학회지, 60(3), 381~387(2015)

­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 외 3명, 한국습지학회지, 11(2), 29~38(2009)

­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 하구주변의 관속식물상 

  서정윤, 유주한, 박경훈, 한림휴양학회지, 16(2), 35~49(2012)

­ 태안반도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한 내생 진균의 다양성  

  유영현, 이명철, 김종국, 한국균학42(4), 269~275(2014)

­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황사발생 원인지역의 녹지 환경 변화 분석  

  이종신, 박준규, 윤희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 1~9(2014)

­ 해안 식물의 무기 및 유기용질 양상 

  최성철, 배정진, 추연식, 한국생태학회지, 27(6), 355~361(2004)

­ 인천 논현동 일대 염습지의 식물다양성과 보존방안  

  정주영 외 3명,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3), 337~345(2000)

­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심현보, 조원범, 최병희, 식물분류학회지, 39(4), 264~276(2009)

­ 사천시 광포만의 식물상 및 외래식물 분포 

  이민숙 외 8명, 한국산림과학회지, 110(3), 369~392(2021)

­ 새만금 신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식생특성

  김선 외 8명, 한국잡초학회지, 32(1), 1~9(2012)

­ 대호 간척지의 제염진해에 따른 초기 식생 변화  

  이승헌 외 3명, 한국환경농학회지, 19(4), 364~369(2000)

­ 명아주과 식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 무기 및 유기용질을 통한 접근 -  

  추연식, 송승달, 한국생태학회지, 23(5), 397~406(2000)

­ 4개 간척 지구에 분포하는 식생과 토양 염류농도  

  이승헌 외 3명, 한국환경농학회지, 22(2), 79~86(2003)

­ 나문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개발

  전소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 대학원 정밀화학과 국내석사(2008)

­ 나문재의 식물화학적 성분 연구

  김윤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식물자원학과 국내석사(2018)

­ 나문재 종자의 Priming 처리가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성필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국내석사(2021)

­ 나문재(Suaeda glauca Bunge)의 무기원소 및 지방산 함량에 관한 연구  

  김송전, 명지대학교 대학원    영양식품학과 국내석사(1977)

­ 나문재(Suaeda glauca) 고사체 주변의 토양, 식생, 게 활동의 공간적 변이 :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사례로  

  이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국내석사(2021)

­ 나문재-염생식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박종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국내석사(2006) 

­ 염생식물 나문재와 갯개미자리를 첨가한 식빵 개발 및 활용방안  

  홍금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관리학과 국내박사(2011)

­ 나문재의 구황식품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연구 : 성분과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춘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국내석사(1975)

­ 랫드 위유문동 운동에 대한 나문재 추출물의 효능

  메하리 엔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국내석사(2008)

­ 염생식물 나문재의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  

  김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국내석사(2019)

­ 염생식물 나문재의 여러 가지 환경 조건 하에서의 종자 발아 및 초기생장특성  

  권혁규, 전북대학교 대학원 농학과 국내석사(2017)

­ 한반도자생 염생식물의 환경저항성 유전자 분석  

  셀밤,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국내박사(2013)

­ 염생식물 유전자원에서 사료작물자원의 탐색 및 염생식물의 내염성 생리적 기작 구명 

  전북대학교/ 차세대바이오그린21(농촌진흥청), 2017, 1395049680(과제고유번호)

­ 자생 생물자원으로부터 환경 저항성 유전자 발굴 및 활용 

  동아대학교/ 국립생물자원관(환경부), 2012, 1485010298(과제고유번호)

­ 간척지 토양 및 용수 염농도에 따른 조기녹화 프로그램 개발  

  국립농업과학원/ 논이용밭농업안정생산기술개발(R&D)(농촌진흥청), 2019, 1395059741(과제고유번호)

자비연 아이크림 세트. [(주)생그린]
자비연 아이크림 세트. [(주)생그린]

[지적재산권]

­  항산화 활성이 있는 나문재 추출물 (Extracts of Suaeda asparagoides Having AntioxidativeActivity)

  | 등록번호 10-0800432-0000 (2008-01-28) | 특허권자 주식회사 생그린

­ 항염증 또는 면역 억제 활성을 갖는 나문재 된장의 제조방법 (Method of preparing fermented soybean paste having anti-inflammatory and immunosuppressive activity)

  | 등록번호 10-2226144-0000 (2021-03-04) | 특허권자 농촌진흥청

­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ION OF SUAEDA SPP AS AN EFFECTIVE COMPONENT)

  | 등록번호 10-1715622-0000 (2017-03-07) | 특허권자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AIR LOSS CONTAINING Suaeda glauca Bunge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출원번호 10-2022-0175427 ( 2022-12-15 ) | 출원인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THE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PROSTATIC HYPERPLASIA CONTAINING AN EXTRACT OF Suaeda glauca Bung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출원번호 10-2023-0084261 ( 2023-06-29 ) | 출원인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ION OF SUAEDA SPP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 등록번호 10-1719612-0000 (2017-03-20) | 특허권자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HEALTH SUPPLEMENT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등록번호 10-1920798-0000 (2018-11-15) | 특허권자 김두성

­ 악취제거효과가 우수한 유기성폐기물 소멸처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Annihiation of Organic Waste with excellent Odor removal Effect)

  | 등록번호 10-2688343-0000 (2024-07-22) | 특허권자 임종일 

상쾌효소골드. [(주)청명자연과학]
상쾌효소골드. [(주)청명자연과학]

­ 함초 새싹채소 및 재배방법 (The Salicomia Herbaceal Vegetable and the cultivation Method for Salicomia Herbaceal)

  | 등록번호 10-1217194-0000 (2012-12-24) | 특허권자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다사랑, 양동흠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