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무한한 가능성 지닌 제주 향토자원X ③]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능력 확인
암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도출되기도
[제주도민일보 허영형 기자] 지난 2014년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됐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그간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인식돼 오던 생물자원은 국가마다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정되면서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산지국가에게 그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때에 필요한 이행체계 및 관련 법률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의 수입 비중이 높아 향토자원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역시 향토자원의 활용과 바이오산업을 제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는 난대림과 온대림, 한대림까지 공존, 자생하는 생물자원만 해도 9787종에 이를 만큼 그야말로 보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생물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실제 식생활을 비롯해 뷰티,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제주도민일보는 향토자원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주도, 제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제주 생물자원의 산업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주의 청정하고 다양한 향토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제주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스토리]
여름이 깊어가는 길목, 뜨거운 햇살 아래 어릴 적 시골길에서 무심코 꺾어 놀던꽃들 중에 하나인 금불초(金佛草)는 여름에 피는 들국화로만 여겨졌다. 금불초는 이름처럼 '부처님의 황금빛 꽃'이라는 뜻을 가졌으며 한방에서는 이 꽃을 ‘선복화(旋覆花)'라 부르며 오래전부터 기침이나 가래를 다스리는 귀한 약재로 사용해왔다. 하지만 최근 과학의 눈으로 들여다본 금불초는, 우리가 알던 것보다 훨씬 더 대단한 잠재력을 가진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이다. 가장 먼저 놀라운 변화를 보여준 곳은 바로 우리의 피부로 다수의 연구(권순식 외, 대한화장품학회지, 2013; 김은희 외, 대한화장품학회지, 2009)에서 금불초 꽃 추출물은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밝혀냈다. 이 덕분에 금불초는 이제 화장품 원료로서 화려하게 변신하고 있다. 차나무, 소리쟁이 추출물과 만나 피부를 맑게 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특허등록 10-2692062-0000, ㈜엔비바이오컴퍼니)으로, 또 사철쑥이나 캐모마일과 함께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달래주는 진정·보습 화장품(특허등록 10-2703489-0000, 한국콜마주식회사)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특히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는 금불초 추출물이 '노인성 체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해 관련 조성물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10-2022-0116293)하기도 했습니다. 정말 똑똑하고 기특한 꽃이다. 금불초의 활약은 피부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는 든든한 파수꾼 역할도 해내고 있다. 금불초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이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잇몸 등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에도 효능이 있으며 특히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금불초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2α-하이드록시유데스마)이 암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들판의 작은 꽃이 품은 위대한 생명력에 절로 숙연해진다.
[소재정보]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사면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꽃차례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고,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 꽃은 약용으로 쓰이던 전통적 활용을 넘어, 현대에는 항노화 화장품, 피부질환 개선제, 노인냄새 제거제, 비만 및 대사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항암 보조제, 탈모 방지 제품 등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심지어 견직물을 염색하는 천연 염료료도 사용되고 있다.
금불초 단독으로도 우수한 효능을 보이지만, 다수의 특허에서 다른 천연물과 혼합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되는 점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대봉엘에스), 차나무 및 소리쟁이(㈜엔비바이오컴퍼니), 사철쑥 및 캐모마일(한국콜마) 등과 결합하여 미백, 보습, 항염 효과를 증진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중심으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금불초가 복합물의 핵심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원료임을 시사한다.
'금불초 추출물'의 효능을 넘어, 연구를 통해 특정 효능을 나타내는 핵심 성분(Active Compound)들이 규명되고 있다. Diterpene 배당체(김대근 외, 2022)와 같은 성분군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2α-하이드록시유데스마-4,11(13)-디엔-8β,12-올라이드라는 특정 화합물이 항암 효과를 지닌 유효성분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는 금불초의 효능이 과학적 근거를 갖춘 것임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금불초는 햇볕 잘 드는 들판의 소박한 꽃에서 출발하여, 현대 과학을 통해 항산화, 항노화, 항염, 미백, 대사질환 개선, 항암 등 다방면에 걸친 효능을 입증받은 고부가가치 천연 소재로 완벽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다른 소재와 결합했을 때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와 특정 유효성분의 규명은 금불초의 미래 가치를 더욱 밝게 한다.
[연구현황]
금불초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권순식 외 4명, 대한화장품학회지, 39(3), 195~203(2013)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김은희 외 7명, 대한화장품학회지, 35(3), 209~207(2009)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전지민 외 5명, 대한화장품학회지, 40(1), 109-120(2014)
금불초 지상부의 Diterpene 배당체 성분
김대근, 김준형, 생약학회지, 53(1), 16-20(2022)
금불초 꽃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 및 인체 시험
김정은, 김아름, 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지, 37(2), 129~136(2011)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작용
이나현, 홍정일, 김진영, 장매희, 한국식품과학회지, 41(1), 87~92(2009)
금불초로 염색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김병희, 송화순, 대한가정학회지, 40(8), 99~105(2002)
금불초로 염색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송화순, 김병희, 대한가정학회, 99~105(2002)
그늘쑥 및 금불초로부터 분리한 NF-kB 저해물질 및 생리활성
김혜자, 충남대학교 약학과, 국내박사(2004)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김경아, 한준수, 천경식, 유기억,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1), 1229~3857(2013)
옥상정원의 식물적응에 관한 연구
윤평섭, 이자희, 유병열,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2), 1~7(2007)
식물자원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탐색
윤정식 외 6명,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3), 246~251(2003)
다양한 잡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강병화 외 6명, 한국농화학회지, 39(5), 409~413(1996)
국내 야생 식용식물 7종의 항산화 활성 및 찔레나무 순 첨가 쌀 카스텔라에 관한 연구
지희영, 대진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국내석사(2013)
선복화의 건강 기능성 효과 및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를 통한 생체 기능성 개선
유형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축산식품생물공학과, 국내박사(2022)
교동도의 관속식물상 분포 및 보전방안 연구
윤호근, 김상준, 이종원,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31(1), 11~46(2022)
지베렐린 생산 균류의 분자유전학적 연구
임순옥, 경북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학과, 국내박사(2009)
[지적재산권]
금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냄새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elderly smell comprising extract of Inula japonica)
| 출원번호 10-2022-0116293 (2022-09-15 ) | 출원인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INULA JAPONICA THUNBERG, EPIMEDIUM KOREANUM AND KNOTGRASS AS ACTIVE INGREDIANT FOR FUNCTIONAL COSMETICS)
| 등록번호 10-1885224-0000 (2018-07-30) | 특허권자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웰코스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besity and reducing body fat comprising complex extracts of Inula japonica)
| 출원번호 10-2019-0015638 (2019-02-11) | 출원인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차나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 및 금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및 피부 미백 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PROTECTION OF SKIN CELL INDUCED BY ULTRAVIOLET RAY AND SKIN WHITENING EFFECTS COMRISING CAMELLIA SINENSIS EXTRACT, RUMEX CRISPUS EXTRACT AND INULA BRITANNICA EXTRACT)
| 등록번호 10-2692062-0000 (2024-07-31) | 특허권자 ㈜엔비바이오컴퍼니
사철쑥, 캐모마일, 녹각사, 금불초 및 예덕나무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진정용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soothing and anti-inflammation containing the complex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Chamomilla Recutita(Matricaria), Amomum Xanthioides, Inula Britannica and Mallotus Japonicus)
| 등록번호 10-2703489-0000 (2024-09-02) | 특허권자 한국콜마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마랩;주식회사가디뷰이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Hair Loss or Stimulating Hair Sprouting)
| 등록번호 10-0974289-0000 (2010-07-30) | 특허권자 ㈜내츄럴엔도텍
2α-하이드록시유데스마-4,11(13)-디엔-8β,12-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2α-Hydroxyeudesma-4,11(13)-Dien-8β,12-Olide as an active ingredient)
| 등록번호 10-2463930-0000 (2022-11-01) | 특허권자 스타링포스 주식회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능성이 증진된 흑산수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산수유 (Method for producing black Cornus officinalis with increased functionality and black Cornus officinalis produced by the same method)
| 등록번호 10-1797120-0000 (2017-11-07) | 특허권자 한문식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PERIODONTAL DISEASE)
| 등록번호 10-1872743-0000 (2018-06-25) | 특허권자 주식회사 파미니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등록번호 10-2802428-0000 (2025-04-25) | 특허권자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 EXTRACTS)
| 등록번호 10-2517948-0000 (2023-03-30) | 특허권자 한경수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 EXTRACTS)
| 등록번호 10-2517944-0000 (2023-03-30) | 특허권자 한경수
※ 이 기사는 (재)제주테크노파크 지원과 협조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