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② 제주도 곳곳 외형적 성장의 그늘 ‘잔뜩’]
밀리고 밀리는 교통정체는 상습적 스트레스로 '왕짜증'

2010년 이후 제주로 들어오는 관광객이 급증하는 데다 이주민들까지 몰려들면서 제주는 명과 암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건축경기와 부동산 경기는 활황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환경훼손과 생활폐기물 처리 등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부동산 급등은 서민들의 집 없는 설움을 더욱 키우고 있고, 이주민들이 늘면서 원주민과 이주민간 갈등은 도내 곳곳에서 비일비재하게 빚어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진단과 대책 등을 <제주도민일보>가 창간(6월15일) 6주년을 앞두고 3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 주]

 

▲ [제주도민일보DB] 제주도로 몰려드는 사람과 자본 탓에 제주도심은 넘쳐나는 차량들로 교통정체가 일상이 됐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사람이 몰리고 이들이 살 집을 마련하고, 관광객이 찾아들고 이들이 묵을 숙소를 짓고 하는 과정에서 도시기반 시설은 질식사 할 지경이다.

상하수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제주도는 수조원대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자동차 보유대수도 경이로울 정도로 늘면서 어느덧 제주도심에서 교통정체는 일상화된 지 오래다.

이로 인해 밀려드는 신규 건축물 허가 신청에 2명 정도에 불과한 일선 행정시와 읍면사무소 인허가 담당직원들은 눈코 뜰 새 없는 하루를 보내고 있다.

양 행정시 건축 관련 부서 과장들은 "내가 도대체 무슨 건축물 허가 신청서에 서명하는 지도 모르겠다"는 푸념까지 나올 정도다.

▲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제주도는 곳곳에서 무분별한 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상‧하수도 문제 곳곳서 ‘아우성’

상‧하수도 문제는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우후죽순 격으로 들어서는 건축물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상‧하수도 처리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상수도의 경우 중산간 지역은 지난 몇 년간 여름마다 이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제주시 한 읍사무소 관계자는 “최근 인구는 물론 신규 건축물이 늘면서 상수도 관련 민원이 많아졌다”고 귀띔했다.

특히 관내 상수도 처리용량 문제로 상수도관 굵기에 제한을 둘 수밖에 없어 이를 수용하지 못하면서 민원인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경우도 있다는 게 이들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수도의 경우도 이에 못지않게 상황이 심각한 편이다. 숙박시설의 하수처리용량 허가 기준이 1년 평균으로 하다 보니 객실을 거의 100%로 가동하는 여름 하수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 [제주도민일보DB] 절차상 하자로 공사가 중단된 곽지과물해변 해수풀 조성 현장.

◆쓰레기‧자동차도 급속히 증가 ‘문제’

쓰레기와 자동차 급증도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쓰레기는 특히 제주도 전역이 예외 없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생활쓰레기는 이미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 제주시 서부지역 한 읍사무소 관계자는 “읍면 지역에선 시내 지역만큼 클린하우스를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털어놨다.

이 사이 제주도내 쓰레기 발생량은 1인당 1.73㎏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관광객들이 버리는 양을 감안하더라도 불감당 수준이다.

음식물 폐기물 또한 제주시의 경우 하루 평균 149t이 발생, 봉개매립장 처리능력(110t)을 훌쩍 넘어서 환경자원순환센터가 들어서는 2018년까지 무조건 발생량을 줄이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자동차 급증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매연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2004년 20만대였던 도내 자동차 수는 2013년 30만대를 넘더니 불과 2년만에 40만대를 돌파, 지난해 연말 43만5015대로 최종 집계됐다.

올해 들어서만 제주시의 경우 하루 평균 99대가 늘어나고 있어 제주 도심 곳곳에 정체 현상을 낳고 있다.
 
이로 인한 매연 문제도 만만치 않아 도민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