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병우 의원 “제 기능 못하는 저류지 활용가치 높여야”
보건복지안전위, 30일 안전소관 내년 예산안 심사

제주도의회 양병우 의원
제주도의회 양병우 의원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환경파괴 논란과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대규모 저류지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도의회 양병우 의원(무소속, 대정읍)은 30일 속개된 도민안전실, 소방안전본부(4개 소방서 포함), 자치경찰위원회, 자치경찰단, 양행정시 안전총괄과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제주가 저류지 만능주의에 빠져 있다”고 질타했다.

양 의원은 이날 강동원 제주도 도민안전실장에게 “제주도가 2007년 태풍 ‘나리’ 이후 중산간 지역에 대규모 저류지 설치를 기점으로 지난해까지 공공에서 설치한 저류지가 299개소이며, 설치 예산만 무려 3606억원 소요됐다”며 “하지만 지금도 저류지를 지속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저류지에 우수(빗물)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양 의원은 “최초 저류지 설계 시 저류지 설치 예정 위치를 기점으로 저류지로 들어갈 수 있는 유역을 잘 파악해 산정했어야 했다”며 “그러나 그 유역 내 숨골 등 투수층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계획하기 때문”이라고 원인을 내놨다.

게다가 “저류지 설계 시 그 지역 실정을 제일 잘 알고 있는 지역주민이 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용역진에 의한 표면 조사만 통해서 설계되다보니 현실과 멀어진 채 저류지가 설치됐다”며 “결국 비가 내리더라도 저류지까지 물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따졌다.

또한 “최근 가뭄일수가 해마다 길어지고 있어서 농가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럴 때 저류지를 물을 한시적으로 가둘 수 있도록 설계하여 가뭄 시 농업용수로 이용한다면 저류지 활용 측면에서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관련해 도민안전실에서 현재 저류지 정밀조사 용역을 수행 중인 것으로 안다. 용역에는 앞서 이야기한 저류지 유역 내 숨골 조사와 지역주민 자문단 운영, 향후 저류지 다목적 활용방안까지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농촌지역에 설치된 저류지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