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좌민석 책임연구원 ‘6차산업화 기초 연구’
“지원센터 설립 어촌마을 등 가능자원 자료 구축돼야”

[제주도민일보 자료사진] 수협에서 위판중인 갈치.

제주지역 수산업을 6차산업화 하기 위해선 다각화 또는 다양화를 기본으로 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다양한 직업군이 필요하고 제주인 경우 귀농·귀촌한 인력들의 전문성을 사업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좌민석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산업화를 위한 기초연구’에서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산업화를 위한 자원은 수산생물활용, 어촌계 포구 등 어선어업 활용, 해변자원 또는 해양자원 활용, 양식어업을 활용 방안 등이 있다”고 밝혔다.

좌민석 책임연구원(이하 연구원)은 “ 수산생물 자원과 양식어업을 활용한 방안으로는 담수 및 해수 관상생물 활용, 양식새우 활용, 제주 특산 해조류 자원을 활용한 방안 등이 있다”며 “해양공간과 해양공간과 해변자원을 위한 방안으로는 해양공간을 활용한 낚시터 운영, 제주연안의 조간대를 활용한 체험장 활성화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어촌계의 마을포구와 어선어업을 활용한 방안으로 어선의 접안시설 외에 해상관광시장, 야간 시장운영 방안 등을 제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토대로 좌 연구원은 우선 “수산업·어촌 6차산업 지원센터를 설립, 기술의 홍보, 구매자 정보 제공, 사업자간 정보공유 및 훈련, 연수, 세미나 등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 6차산업과 관련된 창업 정보제공과 우수제품의 사후 관리를 해야 한다”며 “어촌마을 단위를 비롯해 제주의 전체적인 산업화 가능자원을 조사하고 자료를 구축해야 한다”고 봤다.

좌 연구원은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도자 육성과 어업인 교육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재정적인 뒷받침이 중요하다”며 “6차산업화는 비교적 높은 전문성이 요구됨에 따라 유통, 마케팅 등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행정, 재정적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좌 연구원은 “6차산업화는 다각화 또는 다양화를 기본으로 하는 산업”이라며 “때문에 다양한 직업군이 필요하고, 제주의 경우 귀농·귀촌한 인력들의 전문성을 사업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좌 연구원은 또 “6차산업화를 연착륙시키기 위해선 담당 공무원들의 관심과 6차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보완책 등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