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이 올해부터 시범운영중인 교과교실제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한다.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으로 학업성취도를 올림으로써 공교육의 효율성 제고에 도움을 주는 취지에는 이견이 없지만 부작용도 만만치않기 때문이다.

지난 3월부터 8개 중·고교에서 시범운영중인 교과교실제는 교과목에 맞게 특성화된 교실에서 교사가 교육을 하고 학생들이 이동하면서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받는 교과운영 형태다.

학교별로 국어·영어·수학·과학(A형), 수학·과학 중점(B-1형), 영어 중점(B-2형), 3과목이상 수준별 수업형(C형) 등 4개 유형 가운데 하나를 지정해 A형은 15억원, 나머지는 2억5000만원~5억원을 지원하는 한편 운영성과에 따라 B·C형을 A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런데 교과교실제 시행이후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드러나는 △학력 격차 심화 △보충반 학생들의 열등감 조성 △교실·기자재 부족 △업무부담 가중 △외부강사 부족 등의 문제점은 그냥 넘길 일이 아니라고 본다. 매시간마다 담당교사가 있는 교실을 찾아가느라 최소한의 휴식이나 체육시간 후 옷을 갈아입을 시간조차 없는 것도 학생들에겐 보통 일이 아니다.

때문에 도교육청은 교과교실제를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과 교원·강사 인력 확보, 학교구조에 맞는 시설 확충, 독서실·라커룸·휴게실 등 학생 공간 확보 등 시범운영 학교 현장에서 나오는 제도적인 보완책에 대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교과교실제가 교육과학기술부의 추진계획에 따라 시행되고 점차 확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공교육의 질과 효율성을 높여 사교육 수요를 흡수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한편 학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교과교실제의 성패는 현장에서 어떻게 시행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본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교과교실제가 제대로 자리잡을수 있도록 도교육청과 정부당국의 노력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