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당면 과제이자 지난 4·11 국회의원 총선때 지역 최대현안으로 부각됐던 제주신공항 후보지를 놓고 ‘설’이 무성한 모양이다. 도내 일부 언론도 ‘국토연구원이 제주신공항 후보지를 구좌읍 김녕리와 성산읍 신산리, 대정읍 신도리 등 3곳으로 압축했다’고 보도하면서 ‘소문’에 일조하고 있다.

신공항 용역을 맡은 국토연구원과 제주도는 ‘후보지 3곳 압축은 사실 무근이며, 지난 3월 제출한 최종보고서에 제시된 4개 입지대안이 전부’라는 입장이다. ‘제주공항 개발구상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는 해안형 2곳, 내륙형 1곳, 해상형 1곳 등 4곳에 대한 부지 특성과 예상사업비 등을 기술, 유추는 가능하지만 정확하게 명시되지는 않았다.

제주도 관계자는 “국토연구원 용역결과를 기초로 중앙 설득에 나서고 있으며, 구체적 입지 선정은 국토해양부의 몫”이라고 못을 박았다고 한다. 국토연구원 관계자 역시 “특정지역을 신공항 입지 후보지로 적시한 적이 없다”고 발을 빼는 모양새다.

중요한 것은 신공항 건설의 시급성과 타당성에 대한 치밀한 논리로 정부를 설득, 하루빨리 착공하는 것이다. 국토연구원 용역결과 현 제주공항은 정부가 전망한 2025년보다 6년이나 빠른 2019년에 포화될 것이며, 확장하더라도 2030년이면 다시 포화상태가 될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새 공항 건설에 대한 정부차원의 정책결정과 시행이 시급하다. 24시간 동시 이·착륙이 가능한 국제자유도시 인프라 구축과 지역간 균형개발,토지 확보·소음에 따른 민원 등의 문제를 감안할때 신공항 조기건설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제주도가 신공항에 대한 밑그림을 확실하게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신공항을 건설할 경우 기존 공항을 폐쇄할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 기본적인 가닥부터 잡아야 한다.

신공항 입지도 국토해양부에 일임할게 아니라 지역균형발전과 제주지 집중현상 해소 등의 차원에서 도 나름의 복안을 세우고 정부와 협의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객터미널 민간위탁과 화물터미널 등 일부 시설 민자유치 등 재원조달 문제도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정부 설득에 나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분명한 것은 정부 계획대로 2014년에 제주공항 수요조사를 실시한 후에 계획을 세우는 것은 너무 늦다는 것이다. 탄탄한 밑그림과 함께 친제주 인적 네트워크를 비롯한 제주의 역량을 모으고 다가오는 12월 대선국면을 활용해 신공항 조기 착공을 관철시키기를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