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3일 엄수되는 제64주기 4·3위령제는 이명박 대통령이 제주도민들에게 한 약속을 지킬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대통령 취임 이후 단 한번도 4·3위령제에 참석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극우보수세력이 끊임없는 4·3흔들기로 유족을 비롯한 도민들의 가슴에 생채기를 남겼음을 감안할때 더욱 그렇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07년 대통령선거때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제주 4·3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며 기념사업도 축소되는 일이 없을것”이라고 단언한바 있다. 그러나 집권이후 한나라당의 4·3특별법 개악 시도와 극우보수세력의 무장폭동 매도 및 진상조사 보고서 부정 등 4·3 폄훼와 ‘역사반란’ 등으로 도민들은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에 대해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

대통령이 바뀐다고 해서 정부차원의 진상조사보고서를 통해 ‘국가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으로 밝혀진 4·3 역사의 진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때문에 임기 마지막인 올해 4·3위령제에 참석해 4·3의 진실을 확인하고 추가진상조사 등 남은 과제와 위령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수 있게 함으로써 유족과 도민들의 마음을 달래는 것은 대통령의 책무나 다름없다.

제주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실무위원회가 이 대통령의 위령제 참석 등을 건의한 것도 4·3에 대한 이념적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보편적 가치를 실현해 4·3의 완전한 해결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2005년 정부가 제주를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선포한 것도 화해와 상생의 특별법 정신을 토대로 다시는 이땅에 4·3과 같은 비극이 없게 하고,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협력을 통해 평화와 인권, 환경과 생태가 살아숨쉬는 공동체를 가꾸어 가기 위한 것이다.

고 노무현 대통령은 부당한 공권력에 희생된 희생자와 유족, 도민들에게 국가를 대신해 공식 사과한바 있다. 제주 4·3을 국가추념일로 제정하는 등 후속과제들은 이번 기회에 대통령이 풀어야 한다. 아직까지 피해신고를 하지 못한 희생자와 유족들에 대한 추가신고 기간 연장과 희생자 유해발굴, 4·3재단 국가기금 출연과 유족 지원사업 국고 지원 확대 등 산적한 숙제들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