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학교폭력에 시달리던 대구 중학생 자살사건은 1년전 자살한 도내 한 중학생의 죽음을 기억하게 한다. 당시 이 학생의 담임교사는 집단따돌림 사실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음에도 아무런 조치가 없었고 학교폭력 상담기관인 Wee 센터 상담도 이뤄지지 않는 등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문제는 1년이 지난 지금도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은 제자리라는 것이다.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사실을 쉬쉬하는 분위기가 여전하고, Wee센터나 배움터지킴이 등 학교폭력 대책이 실효성이 시원치 않기 때문이다.

제주도교육청이 말하는 학교폭력 조치사항은 학생이 담임교사에게 피해사실을 말하면 학교장에게 보고하고, 학교장은 상황을 파악하고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를 소집해 그 결과를 도교육청에 보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교평가 저하 등을 이유로 학교폭력이 덮어지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고 가해학생들에 대한 처분도 솜방망이에 그치는 등 문제 해결에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한다.

도교육청이 자랑하는 Wee센터도 역부족이다. 지난해 8월 도교육청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학교폭력 피해 보호조치 학생이 1190명에 이르지만, 지난해 폭력·집단따돌림 등에 대한 제주시 Wee센터 상담은 149건에 그쳤다고 한다. 제주·서귀포 Wee센터와 일선 중학교 등을 통틀어 전문상담교사가 단 13명에 불과해 인력 충원에 대한 목소리가 높지만 도교육청은 예산타령만 하고 있다고 한다.

배움터지킴이도 고령화와 전문성 부재 등의 문제에다, 지난해 한 초등학교에서 여학생을 성추행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대구 중학생의 죽음을 애도하는 도교육감의 서한문에 앞서 제2·제3의 안타까운 죽음을 예방하기 위한 내실있는 대책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