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행정과 소통 절실…뭘 하는지 모른다”
김태일 교수, “도시재생 시간 걸려…준비 해야”
제주도의회 문광위, ‘문화재생사업 정책토론회’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가 21일 삼도2동 주민센터에서 '원도심 문화재생 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있다.

제주시 원도심 문화 재생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 됐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는 21일 삼도2동 주민센터에서 ‘2017 원도심 문화재생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김태일 제주대 교수는 이날 도시재생 사업에 대해 가장 핵심은 원도심 주민들과 소통, 이를 통해 구체화 된 주민들이 바라는 도시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날 “도시재생사업은 짧게는 10년, 길게는 20년 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주민들이 큰 욕심을 부리기 보다는 우리 생활 환경이 아이들에게 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뉴질랜드의 도시재생이 던지는 교훈이 담긴 영상을 상영했다. 이 영상은 ‘인간중심적인 환경은 비용이 적게 든다’를 주제로 한다.

영상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2016년 11월 일어난 지진으로 많은 문화재가 없어졌다. 없어져 버린 문화재와 도시재생을 위해 행정당국은 “지역주민들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도시계획을 다시 고민하게 됐다. 결국 원도심에 대해 다시 고민하게 된 것이다.

뉴질랜드는 당시 1500여채 건물을 철거하고 다시 지어야 했다. 이에 뉴질랜드는 외부 건축 전문가를 초청, 조언을 구했다. 초청된 전문가는 “모든 시민들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결국 행정당국과 전문가 집단은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모집하기 시작했다. 시민들은 자기가 살고 있는 도시에 대해 총 10만여개의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뉴질랜드 행정당국은 100명의 계약직 공무원을 채용해 10만건의 아이디어를 분석했다. 결국 시민들이 오래된 도시처럼 저층 도시를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들어 달라는 시민 의견을 종합했다. 

뉴질랜드 행정당국은 시민들이 남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옛도심 추억을 기억해 내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뉴질랜드 행정당국은 도시재생을 하면서 기업들과의 마찰도 있었다. 좁은 땅에 높은 건물을 지어야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시민들은 6층 짜리(저층) 건물의 도시계획을 요구했고 이를 중앙정부와 싸워 이뤄냈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가 21일 삼도2동 주민센터에서 '원도심 문화재생 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있다.

김 교수는 “우리 제주시민들은 일방적으로 일을 추진한다고 행정을 비난한다. 행정은 왜 비판만 하냐고 야속 하다고 한다”며 “이는 신뢰의 문제가 아니다. 도시재생은 처음부터 준비기간을 가지고 공부를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김 교수는 “원도심과 관련된 많은 사업을 하고 있는데 이를 잘못됐다,  잘됐다 할 수 없다”며 “문제는 이걸 처음 시작할 때 주민들과의 소통과 참여가 얼마나 많이 이뤄 졌는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논의의 핵심주제는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주민과 함께 진행할 것인지, 기존 입찰중심 사업발주 방식을 탈피할 수 없는지 등 문제들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따라서 원도심 재생사업 촉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수립계획의 성실한 이행, 추진주체의 명확성, 행정기관의 역할, 사업추진과정 및 발주방식 등을 제시했다. 

추진주체의 명확성에 대해 김 교수는 “도시재생센터는 수립된 계획에 기초해 지역주민들에게는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참여과정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의 역할은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지원하는 협의조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지역에 뭔가 보탬이 돼야 하는데 아직까지 전혀 없다”며 “행정이 지역주민과 소통을 한다고 하는데 뭘 하는지 모르겠다. 더 많은 소통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