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저층주거지 정비사업’ 방안 제안
소규모·희망자만으로 가능 갈등 최소화
근현대 건축물 보존내용도 포함 ‘호평’

19일 오후 3시부터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열린 도의회 ‘제주도민 맞춤형 주거안정 대책수립 T/F팀’ 제5차 워크숍이 진행 중이다.

제주도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후주택 개선방안으로 색다른 안이 제시됐다. 대규모 재개발사업이 아니라 원주민의 주거권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이라 실제 적용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19일 오후 3시부터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열린 도의회 ‘제주도민 맞춤형 주거안정 대책수립 T/F팀’ 제5차 워크숍에서 제주발전연구원 엄상근 책임연구원은 ‘제주도 노후주택 개선 방안’으로 서울주택도시공사(SH)의 사례를 소개했다.

‘저층주거지 정비사업’과 ‘돈의문 박물관마을 조성사업’으로 서울의 구도심 지역과 역사문화 자원 보존지역에서의 개발사업이다.

저층주거지 정비사업은 10필지 내외를 통합개발(지주 공동사업)해 단지형 주택과 커뮤니티 시설을 짓는 내용이다. SH는 설계와 시공, 사업비 조달 등 사업관련 관리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사업은 사업에 동의하는 주민만을 대상으로 해서 기존 대규모 정비사업의 폐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규모라서 사업절차도 간소하고, 단독 개발에 비해 공사규모를 확대할 수 있어 우수 시공사 참여를 유도, 시공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19일 오후 3시부터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열린 도의회 ‘제주도민 맞춤형 주거안정 대책수립 T/F팀’ 제5차 워크숍이 진행 중이다.

돈의문 박물관마을 조성사업은 역사문화 자원의 보존 및 개발사업 참여를 목적으로 한다. 근현대 건축물 및 한옥 유형 보존, 박물관·공방·상가 및 문화시설 등을 조성한다.

이 방안은 워크숍에 참가한 전문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김태일 제주대 교수는 “일본에서 하고 있는 방식으로 성공적”이라고 소개한 뒤 “LH든 JDC에서 역할을 나눠 진행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강창석 제주도 디자인건축과장도 “올해부터 공공건축가 제도를 시행한다. 도시재생센터도 만들었다. (협의해서) 시행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대응했다.

좌장을 맡은 강경식 의원도 “도의회에서도 강력히 촉구하겠다”며 거들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