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일보 선정 2016년 10대 뉴스
식당주인 집단폭행에 성당살인까지…반중감정 확산일로
<4>유입인구·관광객에 하수처리·쓰레기·교통 ‘아우성’

새해부터 몰아닥친 폭설로 한 해를 시작한 제주도는 최근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로 또 다른 한 해를 마무리하고 있다.

외형적인 성장을 계속 하는 동안 드러난 문제점도 많았다. 부동산값은 여전히 폭등해 서민들의 주름살을 늘렸고, 교통난과 주차란에 쓰레기 대란까지 겹치면서 한숨만 커지고 있다.

이주민과 관광객의 발걸음은 더욱 잦아들었고, 그로 인한 선주민과의 갈등, 일부 관광객들의 범죄행위로 도민은 물론 전국민이 공분하기도 했다.

제주도민일보가 선정한 ‘2016년 10대 뉴스’를 통해 이를 되돌아본다. <편집자 주>

 

지난 9월 제주시 연동에서 발생한 중국인 집단폭행.

<3>집단폭행에 성당살인까지…무사증 폐지여론 확산

올해 제주섬에 가장 중요한 키워드 하나는 중국인이다.

늘어난 중국인 관광객에 사상 첫 1500만 관광객 시대를 열은 반면, 연이은 중국인 강력범죄로 불안에 떨어야만 했다.

특히 무사증 폐지 여론 등 반중감정이 확산일로에 있는데다 최근 사드 배치 문제로 중국내 한한령(限韓令, 한류금지령) 분위기가 확산되며 중국인에 맞춰진 제주 관광산업 패턴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초 제주에서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식당에서 집단 난투극을 벌이고, 이를 만류하는 식당주인과 손님들마저 무차별로 폭행하기도 했다.

이 사건이 일어난지 불과 10일도 지나지 않아 중국인 관광객이 성당에서 60대 여성에게 흉기를 휘둘러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제주사회를 충격에 빠드린 중국인 성당살인 용의자.

더욱이 해당 중국인은 태연히 범행을 재연하고, 고의성마저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며 도민사회를 충격의 도가니에 빠트렸다.

또한 지난달 4일에도 연동의 한 식당에서 중국인 3명이 가게 종업원을 무차별로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연이은 중국인 강력범죄로 제주사회를 비롯한 국내에서는 반중감정이 확산, 무사증을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심지어 제주도를 향한 국정감사에서도 무사증 제도의 존폐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와함께 최근 사드배치 문제로 중국내 한한령 분위기가 확산되며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도 감소추세로 돌아서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중국인 관광객에 초점이 맞춰진 관광산업 패턴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이는 등 그야말로 중국인으로 인한 혼돈의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러시아워 시간마다 연출되는 제주시 교통체증 모습.

<4>유입인구와 관광객 증가…취약한 사회기반시설

늘어난 유입인구와 관광객은 제주경제에 유리한 점으로 작용했다.

반면 하수처리와 쓰레기, 교통 등 부족한 사회기반 시설로 인해 각종 문제점을 야기하며 반작용이 속출하기도 했다.

우선은 한계량에 다다른 하수처리 문제다.

제주시 도두 하수처리장의 경우 유입하수량은 2014년 11만6208t/(일)에서, 지난해 11만9674t/(일)으로 3000t이상 증가했다.

이 때문에 수처리 공정별 체류시간 부족 및 분류식 관로정비가 완료된 지역의 정화조 폐쇄로 생활오수 직유입, 침출수 및 음식물 배출수가 늘면서 유입농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일수도 늘며, 악취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 주민 및 환경단체 반발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도내 등록차량도 46만7098대(12월 1일 기준)를 돌파하며 휴일과 러시아워 시간대 대도시를 연상케 하는 교통체증이 되풀이 되고 있다.

넘쳐나느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제주섬.

제주섬을 뒤덮고 있는 쓰레기 역시 심각한 문제다.

제주시 봉개매립장과 서귀포시 색달매립장의 경우 늘어나는 쓰레기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른 조기 만적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하는 양 행정시의 쓰레기 요일별 배출제를 놓고 기대반 우려반인 상황이다.

내년 1월 1일 시범운영할 서귀포시와는 달리 이달부터 시범운영을 실시한 제주시는 불편하다는 민원이 계속되며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24시간, 나머지도 오후6시~자정에서 오후3시~익일 새벽 4시까지로 시간이 조정됐다.

그나마 제주시에서 어느정도 민원이 안정되는 분위기가 조성되며, 도민 불만 속 정착시기가 주목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