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작가’ 통한 확장 가능성 충분히 검증
남은 과제 조속히 해결…본궤도 돌입 기대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말 그대로 잔치판이었다.

세계적인 명성의 노화백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제주도민은 물론 전국적으로 인사들이 몰려들었다. 작가와 비평가는 물론 화랑주, 컬렉터들까지 얼굴을 내비쳤다.

몇 년 전 제주도로 정착한 대구 출신 작가는 “한 동안 육지를 안 가서 사람들 얼굴 볼 기회가 없었는데 오늘 와서 다 만났다”고 할 정도였다.

여기에다 국회의원(오영훈, 정병국)에다 제주도의원(김희현 문화관광스포츠위원장, 이선화, 좌남수)은 물론 주한프랑스문화원장 등 해외 인사들까지 먼 길을 마다 않고 노화백의 기쁜 날을 함께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오후 열린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스타작가의 파워를 실감케 하는 자리였다. 전시회 설명에 중 김창열 화백에 집중된 시선.

김창열 화백은 더도 덜도 아닌 ‘스타’ 그 자체였다.

누구나 김 화백이 있는 자리를 찾아 인사를 나눴다. 잠시라도 얼굴을 본다 싶으면 전화기를 꺼내 사진 찍기에 여념이 없었다.

여기에는 남녀노소는 물론 피부색도 불문이었다. 김 화백을 바라보는 ‘눈빛에는 별이 빛났다’고 하겠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오후 열린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스타작가의 파워를 실감케 하는 자리였다. 김창열 화백이 외국인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를 대하는 자세는 모두가 경건했다.

1929년생, 87세의 노구 앞에서 누구나 머리를 조아렸다. 휠체어에 앉아 있을 땐 무릎을 꿇고 귀 가까이서 얘기했다.

개관식 도중 인사말을 하러 연단에 오를 때에는 원희룡 제주도지사부터 뛰어나가 편한 자리를 만들 것을 신경 썼다.

오직 선생의 60년지기라는 박서보 화백만이 자신을 ‘돼지’라고 불렀던 김 화백의 예전 편지를 소개하며 농을 나눌 뿐이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오후 열린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스타작가의 파워를 실감케 하는 자리였다. 미술관 로비를 가득 채운 참석자들.

이날 김창열미술관 개관식에서 나타난 일종의 ‘신드롬’은 스타급 미술작가의 역할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많은 인사들이 축사를 통해 밝혔듯이 김창열미술관은 제주도가 지향하는 ‘문화예술의 섬 제주’에 국제적인 영향력을 끼칠 가능성이 다분하다.

이날 참석한 한 제주도의원도 전시 자체에 만족감을 나타내며 그 가능성에 공감했다.

김 화백의 제자이면서 이번 개관전 기획에 큰 역할을 한 유진상 교수는 “김 화백의 일대기를 볼 수 있다. 작품 중 정수만 뽑았다”며 자신 있어 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오후 열린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스타작가의 파워를 실감케 하는 자리였다. 김창열 화백이 부인 마르틴 질롱과 함께 전시작품 앞에서 사진촬영을 위해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는 김창열미술관이 제주도립미술관으로 탄생하는 과정 자체도 호평하며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평가했다.

김창열미술관 건립 과정에서 가장 비판이 많았던 점은 ‘지역작가들은 왜 소외시키느냐’는 것이었다. 아무래도 김 화백이 지역 출신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었다.

하지만, 김창열미술관의 파괴력은 오히려 향후 지역작가 정립에도 긍정적인 평가를 줄 수밖에 없다.

하나의 과정을 거치면서 경험을 축적한 데다, 김창열미술관에 전 세계 미술전문가들이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지역의 미술에도 눈을 돌릴 가능성이 다분해지기 때문이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24일 오후 열린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개관식은 스타작가의 파워를 실감케 하는 자리였다. 개관식 행사장 전경.

이날 현장에서 만난 관계자들은 한목소리로 이같은 의견에 공감을 보냈다.

김창열미술관 측에서는 이제 하나의 큰 과제가 끝난 셈이다. 앞으로 미술관은 물론 제주도에 남아 있는 과제도 많은 만큼 더 많이 고민하길 주문해 본다.

김창열미술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재원 확보, 입장료 지정 문제 등에 있어 유연한 행정, 지역작가들과의 유대 방안 등 찾아야 할 것이 많다.

그동안 개관 준비까지 많은 이들의 노고가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 성공적으로 개관식을 끝냈으니 일단 한 템포 쉬면서 김창열미술관을 재빨리 본궤도에 올려놓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