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회 성공적 개막 위해 일단 보류?
당대회 전 5차 핵실험 계획 없었을 수도

▲ 【평양=AP/뉴시스】북한 주민들이 5일 평양에 인공기들로 장식된 4·25 문화회관을 지나가고 있다. 북한은 6일 36년만 가장 큰 정치행사인 제7차 노동당 대회를 개막했다.

【뉴시스】북한의 노동당 제7차 대회가 6일 개막되면서 그동안 초미의 관심이었던 '당대회 이전 핵실험'은 현실로 나타나지 않게 됐다.

다만 우리 정부는 북한이 당대회 기간 중이나 이후라도 언제든지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북측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은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안다"며 "당대회 전에 핵실험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앞으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 역시 "당대회 이후 추가 핵실험이나 탄도 미사일 재발사 등 도발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며 "당대회 메시지에 주목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북한이 대남 공세 국면을 유화 국면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당대회 이전 5차 핵실험을 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 당대회의 성공적 개최 준비에 매진하느라, 핵실험 준비 시간이 부족했을 수 있고, 국제사회의 강도 높은 추가적인 대북 제재를 어느 정도 의식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1월 4차 핵실험 이후 4개월 만에 진일보한 핵기술을 선전해야 한다는 데 대한 부담도 없지 않았으며, 최근 연이은 무수단 미사일 실패 등으로 인해 당초 계획했던 계획들이 꼬였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여러 사정으로 '핵 단추'를 아직 누르지 않았을 뿐, 당대회 이후 시기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추가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선 북한이 본격적인 미국 대선 국면까지 핵실험 카드를 아끼고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북한이 당대회 이전에 5차 핵실험을 할 계획이 없었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평양=AP/뉴시스】노동당 7차 대회를 앞둔 북한 평양 거리에 깃발과 함께 선전 간판이 장식되어 있다.

이미 지난 1월 4차 핵실험 당시 "수소탄 시험 완전성공"이라고 주장했던 만큼, 더이상 추가 핵실험의 명분이나 이유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3월 '핵탄두 폭발시험'과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탄도 로켓 시험 발사'를 지시한 것 역시, 이른 시일 내 핵실험 가능성을 낮게 한다. 김 1위원장의 지시는 핵탄두 폭발시험인 것이다.

이미 핵기술을 완성했다고 천명한 만큼, 핵탄두의 소형화·경량화 및 투발 수단(미사일)의 기술 개발에만 몰두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지난 1~4차 핵실험과는 다른 형태의 실험일 수 있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한 전문가는 "애초에 북한의 로드맵에는 당대회 이전 5차 핵실험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미 4차 핵실험 이후 장거리 로켓(미사일)과 여러 종류의 발사체 발사, 핵탄두 모형 공개, 대기권 재진입 모의실험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계획대로 '핵무력 완성'을 진행해 왔다"고 평가했다.

이 전문가는 그러면서 "결국 북한은 당대회의 성공적인 개막과 내부 결속을 위해 핵무력을 김정은의 가장 큰 치적으로 포장할 필요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추가 핵실험 여부는 크게 중요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굳이 5차 핵실험을 하지 않아도 이미 핵을 움켜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사적인 36년 만의 당대회를 개최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김 1위원장을 칭송하며 "우리식의 소형 핵탄두 개발과 탄도 로케트 전투부 첨두의 대기권 재돌입 환경 모의시험, 대출력 고체 로케트 발동기 지상 분출 및 계단분리시험, 새형의 대륙간 탄도 로케트 대출력 발동기 지상분출시험에서의 대성공 등은 우리 국방과학자, 기술자들이 당대회에 드리는 가장 큰 선물"이라고 선전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