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작부체계 혁신 대책안 발표…2016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계획

▲ [제주도민일보 DB]

[제주도민일보=최병근 기자] 제주산 월동채소 수급·가격안정 대책안이 나왔다. 주요 골자는 대체작물의 가격안정화와 판로대책에 중심이 맞춰져 있다.

제주도가 발표한 대책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대규모 생산방식이 아닌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으로 전환이다. 이를 통해 농가경제의 안정화를 꾀한다는 것이다. 이는 농가경제의 안정화 뿐만 아니라 종다양성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제주도는 6일 월동채소 수급안정 개선(작부체계 혁신) 대책을 발표했다.

제주도가 발표한 월동채소 수급안정 개선(작부체계 혁신)대책(안)에 따르면 기본방향으로 대체작물을 지역별 적합한 품목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또 대체작물 소득안정을 위해 지원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판로를 확보하기 위해 소비를 확대하고 수요처를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생산방식을 바꿔 농가경제에 안정화를 꾀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는 대체작물 수매가 차액을 보전하고 직불제도를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또 매년 같은 작물을 심을 때 발생하는 연작피해를 예방하고 품목별 관측사업도 벌인다. 특히 품목별 조직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영농작업단을 운영하는가 하면 농작업 대행 및 농기계를 지원해 인력부족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작부체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도 내놨다.

일단 당근과 무가 주로 생산되는 동부지역은 메밀, 귀리와 유채로 품목을 다변화 시킨다는 계획이다. 양배추가 주로 생산되는 서부지역은 보리와 고구마, 기장 등으로 작목을 다변화 시킬 예정이다. 무와 양배추 주산단지인 중산간 지역은 고구마, 감자, 메밀 등으로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제주도는 대체작물 가격안정화 대책도 제시했다.

일단 보리 수매가격 차액 보전제도를 확대한다. 또 메일, 귀리 재배면적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가소득을 안정화 시킨다는 것이다.

대체작물의 판로는 보리 소비 및 수요처·계약재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제주메밀을 고부가가치 6차 산업으로 키우는가 하면 유채도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제주도는 수급안정 및 농업 생산비를 줄이기 위한 대책도 제시했다.

제주도는 수급안정 대책으로 재배신고제, 계약재배·품목별 자조금·밭작물 직불제·경관보전직불제 확대와 월동채소 품목다양화, 초지내 무단 농작물 재배행위 근절대책 등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생산비를 줄이기 위해 주산지 중심 시범사업 집적화 및 R&D강화, 밭농업 공동 경영체 육성을 통해 생산비를 줄이고 인력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제주도는 주력품목 육성작물로 메밀, 유채, 보리, 귀리, 메밀, 기장, 감자를 선정했다. 수급조정작물로는 무, 당근, 양배추를 지정했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품목별 제주형 자조금 확대, 제주형 농산물 최저가격보장제 도입, 양배추망을 부가가치세 환급대상 품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또 채소류 유통명령제 도입·양배추 채소류수급안정사업 품목 추가지정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월동채소 생산조정직불제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달 9월 15일부터 10월 1일까지 월동채소 주산지 읍면에서 월동채소 수급안정 개선(작부체계 혁신) 대책안에 대해 농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이 자리에서 제안된 의견들을 종합해 월동채소 수급안정 개선(작부체계 혁신) 대책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