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문상
민선6기를 맞이해 단행된 첫 인사는 기대치 이하도, 이상도 아닌 평범한 성적표를 안고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고 본다.

굳이 덧붙인다면 ‘새 술은 새 부대’가 무색하리만큼 회전문 인사가 대부분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사유로는 아무리 원희룡 제주도정이라 할지라도 연초 대규모적으로 단행된 무리한 승진인사와 한정된 인재풀 앞에 소위 ‘협치 인사’는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다행인 것은 도정이 바뀔 때마다 한직으로 밀려나는 보복성 인사가 사라졌다는 점, 특히 와신상담 끝에 재기에 성공한 케이스 등은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어김없이 보여준 인사의 난맥상에 대해 지적을 아니 할 수가 없는 것은 이를 계기로 좀 더 나은 공직인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충정임을 먼저 밝혀둔다.

첫째 이번 역시 행정시에서 도청으로 40명이 전출(6급 이하 기준, 제주시 30명, 서귀포시 10명)됐다. 그러나 도청에서의 전입은 22명(6급 이하 기준, 제주시 14명, 서귀포시 8명)에 불과해 무려 18명의 인력을 빼앗겼다는 점이다.

6급 이하는 실무직으로서 행정시 입장에서는 전투요원이나 진배없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행정시 위상강화는 뒷걸음뿐이 아닌지 우려스럽다.

둘째 인사가 조직개편과 맞물린 탓도 있지만 사상 최악으로 시기를 오래 끌었다. 그러다보니 업무공백은 물론 국가적으로 단행되는 을지연습을 불과 며칠을 남겨두고 크게 혼선을 빚었다. 게다가 인사발표 시간 역시 도와 행정시간 손발이 맞지 않아 직원들로부터 원성이 끊이지 않았다.

셋째 주요 보직에 대한 인사 자리가 공직내부가 아닌 외부 카더라통신을 통해 알려지면서 철통보안이 다시 한번 입방아에 올라 아쉬움을 줬다.

넷째 육아휴직·명퇴 등에 따른 상위직 결원은 연쇄적 승진을 단행했다. 그러나 결국 최하위 자리는 행정시에만 114명(제주시 62여명, 서귀포시 52명)의 무더기 결원이 발생, 대민서비스에 적신호를 보였다.

오죽하면 무슨 팀, 무슨 개혁담당을 신설해 놓고 직원 하나 없는 조직이 어떻게 굴러가겠느냐는 푸념도 터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도의 경우 인사발표 명단에서 20여 명의 당사자(사무관급)를 빠뜨리는 치명적 실수를 했다. 게다가 서귀포시의 경우 전보 불만자를 원점으로 돌려주는가 하면, 일부 소수직렬의 매끄럽지 못한 승진은 옥에 티가 아니었나 싶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서귀포시 입장에서는 몇 가지 희망도 보였다는 점이다.

첫째 국장(4급) 자리를 자체승진으로 이어갔다는 점이다, 둘째 상대적으로 승진기회가 적은 소수직렬(6급 10명)을 배려했다는 점, 셋째 일선(읍·면·동) 근무자를 예년에 비해 눈에 띄게 안배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늘 강조해 왔던 말이지만, 국민위한 봉사는 고위직만 하는 것도 아니며, 승진코스로 각인되는 특정 부서만 하는 것도 아니다. 남들이 꺼려하는 기피부서에서, 최일선에서, 소외된 부서에서 묵묵히 소임을 다 하고 있는 공직자가 대우 받는 공직사회를 기대해 본다.

강문상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귀포시지부장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