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인 해외관광 비용 437억달러(약 49조원) 가운데 쇼핑으로 소비한 돈이 58.5%에 이른다고 한다. 해외관광에 나설 여력이 있는 중국인 중산층 인구도 전체인구의 23%인 3억명에서 2020년에는 7억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을 감안하면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거는 것은 당연한 노릇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이 121만2300명에 이르고, 매해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울은 중국인 부호들은 타깃으로 쇼핑·특급호텔·리무진관광·미식체험 등 특화된 상품개발에 나서고 있다. 부산도 전략상품 개발과 유치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과제 선정과 태스크포스팀 구성 등을 통해 중국 관광객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정부도 씀씀이가 큰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해 비자발급 요건을 완화, 지자체간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다. 복수비자 발급대상을 넓히고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더블비자’를 신설하고, 같은 비자를 받을수 있는 가족관계 범위를 부모와 배우자 부모로 확대했다는 것이다.

반면 제주는 무사증 입국이라는 유리한 제도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 기반 구축에 사실상 팔짱을 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해·북경으로 한정된 직항노선과 국내 항공편 부족 등에 따른 접근성 문제와 쇼핑·오락·음식 등 살거리·즐길거리·먹을거리 부재 등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상반기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 중 직항편으로 온 관광객이 30.3%에 불과하다는 것은 제주가 목적지가 아니라 들러가는 곳이라는 의미다. 중국 쇼핑관광객을 겨냥한 쇼핑아웃렛과 차이나타운 등도 구상에 머문채 제자리걸음이다. 돈을 쓰려해도 쓸곳이 마땅치 않고 오락·체험거리도 없는데다 음식·숙박도 만족스럽지 않으니 당연한 결과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가 ‘웨딩관광 등 고부가가치 상품을 선보이고 여행사·언론사 팸투어 등 마케팅을 하고 있어 별문제가 없다’고 했다는 건 문제 의식이 없거나 일을 하기 싫다는 뜻이다. 도 공무원들의 발상도 별반 다르지 않다. 오죽했으면 우근민 도지사가 직원조회에서 안내판·음식·쇼핑 등의 문제를 일일이 거론하며 중국 관광객 유치 확대 필요성에 대한 공무원들의 개념없음을 질타했겠는가.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