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정주민 개인의 선택권 배제하고

'문화' 보는 시각 없이 '교육' 성장만…

▲ 제주도민일보 DB
[제주도민일보 변상희 기자] 제주지역 다문화교육이 이주민과 정주민의 선택권을 배제해 오히려 '정체성의 폭력'을 낳고 있다는 주장이다.

제주대학교 김민호 교수(교육대학·초등교육연구소)는 '제주지역 다문화교육의 현재와 미래' 연구에서 도내 다문화교육은 사회적응만 강조하며 개인의 선택권을 배제해 '정체성의 폭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짚었다.

여기에는 이주민을 바라보는 '집단적 시각'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그는 현재 도내 다문화교육은 개개인의 정체성을 고려치 않고서 '다문화주의적' 시각으로 접근해, 결국 대부분의 교육에서 이주민은 주체적인 선택의 기회가 없다고 설명했다.

'초기 정착'에만 집중된 다문화교육과 '결핍'에만 초점을 두고 보완하려는 프로그램 구성도 개선해야 할 과제로 짚었다. 그는 영구정착단계의 이주민 대상 교육프로그램이 미약하며, 이들에 대한 사회구성인으로서의 존중이 적어 결국 대부분의 교육프로그램이 '성장'되지 않는 한계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 제주도민일보 DB
학교다문화교육과 학교밖다문화교육으로 나눠 제주지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짚은 그는, 도교육청이 일선 학교에 주문한 학교별 다문화교육 또한 형식적 사업에 그쳐 별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학교밖다문화교육 역시 프로그램 기획·운영에 있어 이주민들이 소외돼 의견반영이 어려운 구조임을 지적했다.

민간단체의 다문화교육이 상급조직의 지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내놨다. 그는 도내 민간단체 다문화교육이 대부분 국가 지원체제에 있어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어렵고, 다른 단체와의 관계에 의한 영향으로 '자생력'도 부족하다고 짚었다.

실제 제주지역 이주민단체는 제주다문화가정센터를 제외하곤 모두 종교기관이 설립·운영하고 있다. 이같은 구조에서는 이주민단체의 주요사업이 상급조직의 지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대안으로 그는 우선 이주민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다양성과 사회통합이라는 다문화교육 본래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상적 지식'보다는 지역주민 생활세계를 고려한 '상호문화교육'으로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 다문화교육의 주체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보다는 시민사회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시민사회를 지원하는 다수의 후원회원 확보가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주민과 정주민 대상의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그들을 '능동적 학습자'로 바라보는 것도 '성숙'한 다문화교육의 필수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