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의원들이 지난해 도입한 ‘1문1답’ 방식의 도정질문을 기피해 ‘공부가 부족하다’는 눈총을 받고 있는 모양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문제의 핵심을 도출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등 도정질문의 실효성을 확보해 집행부 견제·감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1문1답’식 대신 대중연설식의 장황한 일괄질문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20일 16명의 도의원이 우근민 도지사를 상대로 도정질문에 나선 가운데 ‘1문1답’식 질문을 한 의원은 단 3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지난해 11월 도정질문에 나선 19명의 도의원 가운데 7명이 ‘1문1답’식 질문을 벌인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거꾸로 가는 것이다.

게다가 일괄질문을 한 의원들은 도지사의 답변에 대한 보충질문을 통해 미흡한 부분을 따지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모습도 없이 질문 자체에 만족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예산·조례심의와 행정사무감사와 함께 의정활동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도정질문이 통과의례로 전략하는 양상이 거듭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도의원들이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본다. 당면 현안 등에 대한 철저한 연구·분석을 토대로 문제의 핵심을 짚고 집행부의 잘못에 대한 추궁을 통해 건설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함으로써 도의회가 도정질문 ‘무용론’을 자초하고, 집행부에도 긴장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도정질문은 예산심의·행정사무감사와 함께 집행부에 대한 견제·비판 기능을 위해 도의회에 주어진 ‘무기’나 다름없다. 더불어 도민들이 도의원 개개인의 전문성과 역량을 판단하는 잣대가 되기도 하는 것이 도정질문이다.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제기되는 도정질문 ‘무용론’을 잠재우려면 무엇보다 당면 지역현안과 문제들을 철저하게 연구·분석하고 대안을 찾는 등 전문성과 역량 제고를 위한 도의원들의 노력이 절실하다. 도의회가 진정 도민의 전당이 되고, 도의원들이 ‘도민의 대표’로서 합당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일층 분발해 줄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