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 도지사가 세계 7대 자연경관 문제에 대해 또다시 무책임한 인식을 드러냈다고 한다. 지난 19일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아전인수(我田引水)식의 왜곡된 답변으로 눈총을 사고 있는 것이다.

이날 감사원 감사와 210억원의 행정전화비를 비롯한 3백억원의 혈세 투입, 실질적인 효과 여부 등 7대 자연경관 선정 문제를 집중추궁한 이선화 의원의 질문에 대한 우 지사의 입장은 한마디로 ‘왜 제주도만 난리냐’는 것이다. “7대경관 선정 문제에 대해 세계인들이나 국민들이 뭐라고 하면 달려들겠는데, 도내에서만 문제가 되고 있다”는 항변이다.

영국의 한 매체가 제주도가 7대경관에 선정됐다는 소식을 실었고, 7대경관에 선정된 다른 나라들은 대대적인 인증식 행사와 함께 개발계획을 내놓고 있다고도 했다. 이와함께 삼성경제연구소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7대경관 선정으로 대한민국 브랜드 가치가 18위에서 15위로 상승했다고 강변했다고 한다.

이런 답변은 7대경관 문제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함께 무책임성을 드러낸 것으로 볼수 밖에 없다. 7대경관을 둘러싼 문제는 본보만이 아니라 KBS 시사다큐 〈추적 60분〉에서 2차례에 걸쳐 다루는 등 서울과 다른지역 매체들이 집중조명한바 있다. 투표전화가 국제전화인지 여부를 놓고 KT 새노조와 KT간 법적 소송도 벌어지는 등 ‘진행형’인 사안이다.

삼성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자료에는 브랜드 가치 상승 요인으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와 수출 급증, K-Pop 열풍 등이 제시됐을뿐 7대경관 선정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7대경관에 선정된 다른 나라의 개발사업은 이전부터 추진해온 것들임에도 억지로 끼워맞추는 것도 궁색하기 짝이 없다.

더욱이 7대경관 문제에 대한 감사가 이뤄진다는 자체만으로도 반성하고 부끄러워해야 함에도 시민사회단체의 요청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라며 깍아내리는 것은 문제의 심각성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우 도정이 해야 할 일은 문제를 덮고 사실을 왜곡해 강변하는 것이 아니라 7대경관에 투입한 300억원이 넘는 도민들의 혈세가 어디에 어떻게 쓰였으며, 전화투표비 수익은 어떻게 배분됐는지 등을 낱낱이 공개하는 것이다.

더불어 전화투표 공무원 동원 실태와 도민사회·기업 등에서 걷어들인 투표기탁금 사용 내역, 사실상 국내전화로 판명되고 있는 KT 투표전화의 실체등도 도민들에게 소상하게 밝히는 것이 도리다. 감사원 감사결과 문제가 드러나면 엄중한 책임 규명과 행·재정적 조치가 뒤따라야 함도 물론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