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가 토양오염기준을 초과한 곳을 콘크리트로 덮게 해놓고 시료채취가 어려워 조사가 불가능했다는 거짓말을 한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게다가 내년부터 다른 곳을 지정해 토양오염측정망을 운영하겠다는 ‘친절한’ 설명까지 덧붙였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제주시는 지난 22일 지난해 조사결과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결정된 9개 지점에 대한 토양오염도 측정망 운영결과를 발표하면서 7개 지점은 니켈(Ni) 함량치가 기준(100㎎/㎏) 이하, 다른 2개 지점은 고물상 업주가 콘크리트로 포장해버려 조사가 불가능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문제의 2개 지점은 제주시가 니켈함유량이 높게 나온다며 콘크리트 포장을 요구했고, 의지만 있다면 조사가 가능한데도 책임을 떠넘겼다는 것이다.

지목이 전(田)인 2개 지점의 니켈함유량은 2007년 85.5㎎/㎏, 2008년 130.5㎎/㎏, 2009년 108.3㎎/㎏으로 종전기준인 40㎎/㎏은 물론 올해 변경된 100㎎/㎏도 초과하는 곳이라고 한다. 또 토양환경보전법 규정에 따라 정밀조사를 위해 필요한 경우 토지의 장애물을 제거할수 있음에도 시료채취가 어려워 조사를 못했고 내년부터 다른 곳을 지정하겠다고 했다니, 제주시의 의도가 무엇인지는 삼척동자도 능히 짐작할수 있는 노릇이다.

브리핑 자료를 통해 ‘토양오염은 천천히 진행되며 한번 오염되면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지하수 등 2차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사전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으로 ‘눈가리고 아웅’하는 제주시의 ‘두얼굴’에 말문이 막힌다.

사실이 들통나자 ‘니켈 수치가 높은 것은 화산지형의 특성으로 자연함유량이 높기 때문이고, 콘크리트 포장은 더이상의 인공적 토양오염을 막기위한 조치였다’고 한 관계자의 변명은 정말 ‘공무원스럽다’.

제주시가 스스로 밝혔듯이 토양오염은 감추고 숨겨서 해결될 일이 아니라 지하수 오염 등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다. 하루빨리 문제된 2개 지점의 시료를 채취해 정밀조사를 하고 결과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제주시가 콘크리트로 덮어버린 ‘양심’을 되찾는 최소한의 조치다.
환경오염 문제에 접근하는 발상의 전환과 문제의 중대성에 대한 성찰을 제주시에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