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기준 도내 실업률이 1%라고 한다. 실업자가 전달에 비해 2000명이나 줄어든 3000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도내 고용률은 68.7%로 전달에 비해 2.7%포인트 상승했고, 실업률이 1%에 불과해 수치로는 고용시장 형편이 전국에서 제일 낫다. 문제는 취업의 ‘질’이다.

도내 전체 임금근로자 19만7000명 가운데 임시·일용직이 10만1000명으로 절반을 넘는다.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를 불안불안한 상황에서 낮은 임금으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전체 취업자 30만6000명 가운데 자영업자가 8만5000명, 농림·어업분야 종사자가 6만9000명에 이르는 것도 실업률 1% 통계의 함정이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다보니 창업을 선택하는 영세자영업자들이 늘어나고, 희망이 없는 농·어촌 청년들은 떠나고 있는 것이다.

수치로 나타나는 실업률과 도민들의 체감도가 확연히 다른 이유다.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 농·어촌 고령자들이 과연 제대로 된 일자리에 안정적인 소득을 올리고 있는지를 세심하게 들여다봐야 한다는 얘기다.

공공근로 등의 일자리사업이나, 도지사가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기업들을 돌아다니며 ‘발품’을 파는 것은 일시적인 처방은 되지만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수 없다. 일정 수준 이상의 임금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일자리 창출이 이뤄져야 통계와 현실의 괴리를 좁히게 될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