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타당성을 두고 논란이 많은 트램(노면전차) 도입 여부가 연내에 판가름날 모양이다. 제주도가 연내에 도시철도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사업 방향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도는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트램 도입 여부를 결정하겠다지만, 시행쪽에 무게가 실려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용역도 지난해 사전타당성 용역에서 제시된 5개 노선 가운데 노형로터리-제주도청-제주공항-서문시장-동문시장-제주항 노선의 경제성 보완 방안 마련에 초점이 두어질 것이라고 한다.

이 노선은 산지천일대 탐라문화광장 조성계획과 연계해 동·서문시장 등 옛 도심을 활성화 한다는 트램 도입 명분에 합당한 것으로 보인다. 관광객과 도민들을 끌어들이고 일종의 ‘역세권’이 형성되면 주변 상권과 옛 도심이 살아나게 된다는 것이다.

트램의 가장 중요한 관건은 실제 수요다. 트램이 설치된다고 해서 과연 도의 구상대로 관광객과 도민들이 몰려올만큼 옛 도심의 ‘콘텐츠’가 풍부한지 의문이다. 호기심 등에 따른 일시적인 수요는 있겠지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수요를 확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2000억원이 넘는 설치비에 연간 55억원대로 예측되는 운영비도 열악한 도의 재정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도가 재정사업이 아닌 민자사업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실제 트램 승객 수요가 예상치를 훨씬 밑돌 경우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도가 적자를 보전해줘야 하는 ‘사태’도 배제할수 없다. 지난해 7월 개통한 부산김해경전철만 해도 하루 평균 이용객이 수요예측치의 18%인 3만100여명에 불과해 김해시가 20년간 매년 700억원씩을 물어내야 할 실정이라고 한다.

청정 제주에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에 부합하는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이라는 전시효과도 기대할수 있겠지만, 대부분 편도 2차선에 불과한 옛 도심 트램 설치 지역의 교통문제도 간단치 않다. 대중교통전용지구로 만들어 자가용과 버스·택시 등의 진입을 차단할 경우 주변지역의 교통·주차난이 악화되는 ‘풍선효과’가 예상되고, 시내버스·택시업체들과의 이해관계 조정도 필요한 대목이다.

트램 기본계획 연구용역은 사업 명분 확보를 위한 용역이 아니라 명확한 목표와 수요 타깃을 토대로 타당성과 경제성 등에 대한 철저한 검증에 초점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용역이 트램에 대한 도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지름길임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