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大 뉴스> ③ 권언유착

2011년 한 해 제주를 달군 뉴스들의 키워드는 ‘불통’과 ‘불공정성’이다. 해군기지 반대 투쟁이 전국을 넘어 세계적인 이슈로 부각된 가운데 4·3이후 처음으로 육지에서 공권력이 투입돼 강정마을을 짓밟았다. 공정성·신뢰성 등의 문제에도 제주도정이 맹목적으로 밀어붙인 7대자연경관 투표와 지역 ‘유력언론’들과의 ‘짬짜미’도 제주도민일보가 선정한 제주 10대뉴스의 선두그룹에 올랐다. 한나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을 강행처리하면서 제주 1차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됐고, 농심과의 삼다수 ‘노예계약’ 파문은 법적공방을 예고하고 있다. 중문관광단지와 탐라대 매각 파문은 ‘먹튀’ 논란과 서귀포지역 불균형 발전문제를 재인식시키는 계기가 됐고, 외국인 관광객 100만시대의 명암과 제학력평가 논란,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 고분양가 논란, 국제학교시대 개막도 10대뉴스의 반열에 올랐다.[편집자주]

▲ 제주도민일보 DB
[제주도민일보 한종수 기자] 지난 6월15일 <제주도민일보>의 1면 백지광고는 도내외 언론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오마이뉴스> <기자협회보> 등은 ‘7대경관’ 상술을 폭로한 본보에 광고를 철회한 제주도 당국의 대응을 비중 있게 다뤘다. <제주의소리> <헤드라인제주> 등 도내 인터넷언론도 ‘쪼잔한 제주도정, 비판언론엔 광고도 없다’라는 제목으로 비판언론 재갈물리기 행태를 비난했다.

제주도는 본보 창간 1주년을 맞아 축하광고를 게재키로 했으나 계속된 7대경관 비판보도에 당초 약속한 광고를 편집일 하루 전 취소했다. 도정을 비판하거나 논조가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사에는 광고를 주지않겠다는 의미였다. 우근민 지사도 당시 공개석상에서 7대경관 투표경쟁을 비판하는 언론을 “한심하다”고 말해 언론관의 단면을 보여줬다.

일부 언론들은 과거 군부독재 시절, 동아·중앙일보 등이 정부압력에 의해 기사가 삭제되자 저항의 의미로 백지기사를 내보낸 일과 비교하면서 ‘놀라움’을 표시했다. 언론매체가 공익을 위해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비판하는 것은 본연의 기능인데 ‘돈’을 무기로 한 도 당국의 행태는 ‘비판언론 길들이기’라고 지적했다.

도정의 비판언론 길들이기 시도는 오래된 ‘관언유착’에서 찾을 수 있다. 기성언론과 행정권력에 의해 견고히 구축돼 온 암묵의 카르텔이 언론본연의 ‘비판’ 기능을 무디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민의 언론자유와 알권리 보호를 위한 학계·시민사회의 요구와 제도적 장치 마련이 어느때보다 시급하다. 깨어 있는 도민의식이 언론길들이기와 관언유착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