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이 밀어붙였던 풍천·수산·가파초등학교 분교장 개편이 1년 미뤄졌다. 제주도의회가 도교육청이 제출한 ‘도립학교 설치조례 일부 개정안’을 수정해 내년 분교장 개편이 예정됐던 3개 초등학교의 유예기간을 1년 연장하는 부칙을 붙여 의결했기 때문이다.

학생수가 각각 30명·34명인 풍천초와 수산초, 7명인 가파초등학교의 분교장 개편을 추진했던 도교육청은 이미 3년의 유예기간을 줬는데 이제와서 왜그러느냐고 볼멘 소리를 하고 있는 모양이다. 2014년까지 작은학교 13곳을 통·폐합하거나 분교장으로 개편하는 계획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한다.

도교육청의 이런 태도는 작은 학교는 정상적인 교육이 어렵다는 고정관념하에서 교육과학기술부의 획일적인 기준에 따라가는 것을 능사로 아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특히 지역학교는 단지 교육공간만이 아닌 마을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지역공동체의 상징이자 자존심이라는데 대한 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강원도가 ‘해당 지역의 특수한 여건으로 학교 유지가 불가피한 경우’와 ‘적정 통학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학생수 20명 이상 유지가능한 학교’ 등은 통폐합 제외대상으로 한 것도 그런 이유다. 학생수 20~60명인 학교를 ‘작고 아름다운 학교’로 지정해 중·장기계획에 따라 육성하는 전라북도의 사례도 제주와는 판이하다.

도교육청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듣는데도 무성의했다. 경기도만해도 학부모 80%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통·폐합학교로 선정하는데, 도교육청은 다 결정해놓고 뒤늦게야 주민설명회를 열려다 비토를 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근본적인 문제는 도교육청이 작은 학교를 살리려는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3년 유예기간을 줬으니 학생수를 늘려서 분교장 개편을 막든 말든 주민과 학부모들이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방치함으로써 ‘학교 없애기에 혈안이 됐다’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는 얘기다.

작은 학교라도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행하면 대규모학교보다 훨씬 나은 교육이 얼마든 가능하고,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늘어난다는 것은 초기 자율학교 운영을 통해 입증됐다. 도교육청이 해야 할 일은 획일적인 기준에 따라 작은 학교들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학부모·지역주민을 비롯한 지역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살려낼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작은 학교에 대한 도교육청의 발상의 전환을 거듭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