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2기 도지사직 인수위원회가 제기한 제주도개발공사 부실 경영 문제에 대해 고계추 전 사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반박하고 나서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는 모양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문제를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루빨리 감사원이나 제주도 감사위원회에 특별감사를 의뢰해 사실규명을 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은 책임을 묻는게 순서라고 본다.

쟁점의 핵심 중 하나인 인력의 방만 운영 여부 문제는 임시직을 어떻게 볼것이냐다. 인수위는 임시직을 도개발공사 전체인력 개념으로 봤고, 고 전사장은 필요에 따라 채용할수 있는 인원으로 조직진단용역에서 제외됐다는 입장이다.

인력 문제는 지난 2004년 정규직 84명과 임시직 74명 등 162명이었던 인력이 지난 6월말현재 379명(정규직 284명, 임시직 95명)으로 갑절이상 늘어난 이유와 2007년이후에만 임시직에서 전환된 정규직이 166명에 이르게 된 경위를 세세히 파악하는데 ‘답’이 있다고 본다.

김태환 지사시절 소위 ‘잘나갔던’ 인사들의 자녀며 친·인척들이 어떤 절차를 거쳐, 꼭 필요해서 채용됐는지도 따져볼 일이다.

부실덩어리인 중국수출에서 파생된 문제는 정보수집의 한계, 담당자 징계, 의지와 열정에서 비롯된 공격형 수출 과정에서 비롯된 일이라는 등의 변명으로 용납될 일이 아니다.

지난해말 기준 21억7500만원의 수출액 가운데 20억8300만원 미수금, 상해에 수출한 1265t 브론산염 기준초과로 폐기 또는 회수, 홍콩으로 가야할 153t 대련으로 잘못가서 전량 손실처리 등 중국수출 결과는 기가 막혀서 말이 안나올 지경이다.

삼다수 자체 브랜드가 아닌 주문자상표부착(OEM)방식으로 이뤄진 수출 자체가 문제다. 1심에서 패소한 호접란 소송 책임 문제도 사실관계를 규명해서 따져보면 될 일이다.

이 상황에서 ‘정치보복’ 운운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제주도는 하루빨리 도개발공사에 대한 특별감사를 통해 한점 의혹이 없게 사실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 책임자는 엄중 조치해 소모적이 논쟁소지를 차단해야 할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