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부터 시행중인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두고 말이 많은 모양이다. 그도 그럴것이 동료교사 평가야 그렇다 쳐도, 학부모가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교사나 교장·교감을 평가한다는 건 말이 안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도내 각 학교에선 지난 6월부터 인터넷홈페이지와 서면조사를 통해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자녀의 담임교사를 제외한 다른 교사나 교장·교감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는 일반 학부모 입장에선 평가를 한다는게 보통 고약한 일이 아니다.

일면식도 없는 교사를 두고 ‘매우 우수’~ ‘매우 미흡’까지 5점 척도로 점수를 매긴다는건 어떻게보면 웃기는 일이다.

자녀의 학년·반·번호까지 기입해야 하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는지, ‘내 아이가 불이익을 받지는 않을지’ 걱정도 크다고 한다. 설문 문항의 구체성과 현실성도 떨어져 ‘모른다’는 응답이 부지기수라니, 이래서야 어디 제대로 평가를 할수 있겠는가.

교원평가제는 일선학교 교사들의 능력 제고를 통해 공교육의 질과 수요자인 학생·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이자는 취지에서 시행되는 것이다. 스승의 권위와 노동자의 권리위에 ‘잠자는’ 일부 안이한 교사들에게 자극을 주고, 교육 수요자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매우 바람직한 제도라고 본다.

단지 평가방법상의 문제 때문에 제도 자체를 폄하하거나 폐지 운운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학부모들이 교사와 교장·교감을 제대로 알고 평가할수 있게 일반수업 참관에서부터 학교 전반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는게 바람직하다.

모든 학부모를 참여시키는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각 반·학년별로 일정규모의 평가단을 구성해 자발적인 참여하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설문 문항을 보다 구체적으로 만들고, 익명성을 보장해 불이익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는 것도 배려해야 할 부분이다. 일부 부작용때문에 바른 취지에서 시행되는 교원평가제를 좌초시키는 어리석음을 범해선 안된다.

자질과 신념을 가진 교사들로부터 질높은 공교육을 받는 것은 학생·학부모 등 교육수요자들의 기본 권리라는 인식을 토대로 교원평가제를 제대로 시행할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할것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