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생산유발효과 1조원” 발표
접근성 및 특성 미반영…객관성·신뢰성 흔들

제주발전연구원이 내놓은 세계7대 자연경관의 ‘경제효과’ 연구결과가 객관성이 결여됐다는 지적이다.

제주발전연구원 고태호 책임연구원은 12일 ‘세계7대 자연경관 선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를 JDI포커스(제116호)를 통해 발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주가 세계7대 자연경관에 선정될 경우 내·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연 6276억원에서 최대 1조2847억원에 이른다.

선정 후 제주지역 관광객 순수요 증가분은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연 20만3574명에서 57만1872명이며 내국인 관광객도 연간 57만8111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태호 연구원은 “이는 7대경관 선정 이후 예상되는 내·외국인 관광수요 증가분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라며 “소나타 승용차(2000만원 기준)를 5만여대 수출한 것과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이번 분석연구에는 지난 2007년 ‘신 세계7대 불가사의’ 선정지 2곳의 외국인관광객 현황 통계자료를 인용했다. 요르단의 ‘페트라’와 인도의 ‘아그라’가 그 곳이다.

그러나 제시된 두 곳의 통계자료에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율이 일정치 않은데다 7대 불가사의 선정에 따른 관광객 유입효과 검증도 확인시키지 못했다.

세계관광기구 자료를 인용한 요르단 페트라의 경우 ‘신 세계7대 불가사의’ 선정 이전인 2004년 외국인 관광객 증가율이 112%로 선정 이후인 2008년 62.1%보다 오히려 높았다.

인도관광청 자료를 인용한 타지마할 소재 아그라의 경우 2005년 25.7%에 이르던 관광객 증가율이 선정 이듬해인 2008년에는 1.8%로 곤두박질쳤다.

두 곳외에 중국의 만리장성이나 이탈리아의 콜로세움, 페루의 마추픽추, 브라질의 예수상 등 7대 불가사의 선정지 6곳에 대한 자료는 아예 제시하지도 않았다.

객관성 결여와 경제효과 산출방식이 올바르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연구진도 이번 경제효과 연구분석이 미흡했음을 인정했다.

고태호 연구원은 “7대 불가사의는 인간이 만든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사업으로 7대 자연경관 사업과는 관광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를 고려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고 연구원은 특히 “관광객 증가율은 해당 지역의 접근성, 주변 관광시장의 특성 등 입지적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를 고려치 않았다”며 “요르단과 인도는 제주와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고 연구원은 또 “7대 자연경관 선정사례가 없어 7대 불가사의 선정지역 분석 결과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며 “7대경관 선정 이후 홍보 등의 노력에 따라 효과의 크기 및 지속기간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책수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제주도는 “7대경관 선정시 1조원 이상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시민단체·누리꾼들은 “근거가 대체 무엇이냐”며 맞불을 놓은 바 있다.

이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제주도는 삼성경제연구소에 7대경관 선정에 따른 경제효과 분석을 의뢰했다고 밝혔지만 그런 사실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특히 이번 ‘경제효과’ 발표와 관련해 불충분한 근거 자료에 1~2개월의 짧은 연구 기간, 연구인력 부족 문제도 거론되고 있어 제주발전연구원의 위상에도 적지않은 타격을 입게 됐다.

한종수기자 han@jejudomin.co.kr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