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486 의장’을 주축으로 한 9대 도의회가 개원했다.

문대림 의장은 40대 ‘젊음’에 걸맞게 변화와 혁신을 이야기하고, 해군기지 등 당면 지역현안과 도민 갈등 해결을 다짐했다. 부의장과 상임위원장들도 남다른 각오와 포부를 밝혀 6년만에 이뤄진 ‘도정 정권교체’와 더불어 새로운 조짐이 엿보이는 건 반가운 일이다.

문제는 실천이다. 지난 1991년 지방의회 부활이후 4~8대에 이르기까지 도의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도민들의 평가가 썩 훌륭하지 못하다는 건 도의원들 스스로 알것이다.

도의원들이 무보수명예직에서 유급직으로 전환되고 전문위원·정책보좌관 보강 등 활동을 뒷받침하는 여견이 좋아진만큼 도의회가 제대로 일을 했는지, 아니 ‘기본’이라도 했는지 가슴에 손을 얹어볼 일이다.

도의회의 기본적인 역할은 도정에 대한 견제와 균형, 지역 현안 등을 둘러싼 도민사회 갈등 사안에 대한 중재·조정과 더불어 주민들의 뜻을 의정과 도정에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멀리갈것도 없이 8대 도의회를 돌아보라. 무엇하나 제대로 한게 있는가.

강정해군기지·영리병원·케이블카 등 지역 핵심현안들을 놓고 ‘제왕적’ 도지사에 질질 끌려다닌 것도 모자라 상임위에서 부결된 강정 해군기지 관련 동의안을 날치기처리한 주역들 상당수가 6·2지방선거에서 도민들의 심판을 받은 것은 9대 도의원들에게 ‘반면교사’가 될것이다.

도민사회 갈등 사안들을 중재·조정해 분쟁을 해결하기는 커녕 손을 놓거나,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집착해 갈등의 중심에 뛰어드는 도의원들도 흔히 볼수 있지 않았는가.

도민들이 내는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다는 것은 도민들에게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과 다름없고, 시작은 기본을 지키는 것이다. 엇나가는 도정은 확실히 견제하고, 바람직한 정책은 제대로 도와주면서 생산적인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그 하나다.

주민들의 뜻이 제대로 도정에 반영될수 있게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갈등 사안을 올바르게 중재·조정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도민사회에 건강한 협의절차를 정착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그 밑바탕은 바람직한 제주의 미래와 오로지 도민들의 이익을 위한 끊임없는 성찰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