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왜곡·인력확보 미흡 등 과제 산적
체계적 교육토대 절실…관련 조례제정 관심

<제63주년 4·3기획- 4·3가치, 기억에서 일상으로>

<2> 일상의 4.3교육은 언제쯤

제주4·3의 기억과 가치, 정신을 후대에 계승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고, 시급한 첫 걸음은 ‘체계적인 교육’이다.

4·3이 올해 63주년을 맞지만 어린 세대에까지 본연의 가치와 정신이 전해지는 지 의문이다. 4·3 유족과 관련 단체들이 부단히 후대와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기성세대의 4·3에 대한 정체성 상실로 인해 이후 세대의 무관심까지 이어졌다.

문제는 어린 세대가 과연 4·3을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다. 이를 확인할 자료가 없다.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4·3 인지도 조사가 시급하다.

# 교과서 왜곡·인력확보 어쩌나

광주 5·18에 대한 인지도 조사 결과를 보면 4·3의 인지도도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지난 2005년 ㈔한국사회조사연구소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5.18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했다. 결과에 따르면 5·18이 일어난 해를 정확히 답한 응답자는 전체 2.1%에 불과했다.

‘신군부의 집권에 맞선 시민항쟁’이라는 성격을 정확히 알고 있는 응답자는 6.2%에 그쳤다. 잘못된 답 중에는 ‘학생들의 항일 투쟁운동’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5·16과 헷갈려 ‘군인들의 쿠데타’라는 답도 뒤를 이었다.

인지도 비율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1988년 32.3%에서 2000년 22.4%, 2002년 12.1%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체계적 교육이 절실한 현 상황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4·3을 왜곡한 교과서가 학교현장에서 쓰이고 있다. 잘못된 4·3역사관을 어린 세대들에게 심어줄 우려가 커 대책이 시급하다.

현재 제주도내 고등학교에서 쓰이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6종 중 일부 교과서가 4·3사건의 발단 주체를 ‘공산주의자’ ‘좌익 세력’으로 기술했다.

J출판사의 교과서는 “1948년 4월에 제주도에서 공산주의자들이 남한의 5·10 총선거를 방해하고자 소요 사건을 일으켰다”고 적었다.

D출판사의 교과서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전후해 대규모의 유혈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였다. 제주도 4·3사건의 배경에는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좌익 세력의 활동, 군정 경찰과 서북 청년단에 대한 반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명시했다.

G출판사는 “4월3일 단독 정부 수립 반대와 미군의 즉시 철수 등을 주장하는 제주도의 공산주의자와 일부 주민들은 무장 봉기하여, 도내의 관광서와 경찰지서를 습격하였다”는 빗나간 역사관을 담았다.

이 같은 교과서들은 2002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검정을 받은 것으로 7차 교육과정에서 쓰이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정부가 이런 상황을 수수방관한다는 것이다. 지난 2009년 제주도 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에 교과서 집필기준 수정을 요청한 바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에서 제주4·3사건 내용이 누락된 것에 따른 조치다.

당시 교육청은 “제주역사의 최대 비극인 4·3이 학교 현장에서 객관적으로 교육될 수 있도록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에 반드시 제주4·3사건을 포함시켜서 기술하고, 기술의 기준도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따라 줄 것”을 건의했다. 하지만 교과부가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아 교과서에는 지금도 4·3이 버젓이 왜곡되고 있다.

학교현장에서 4·3을 전문성있게 가르칠 교원 등 인력확보도 숙제다. 현재 전교조 제주지부만이 인력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4·3연구소가 해마다 진행하는 4·3교육 직무연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자체 분과모임 등을 통해 4·3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석문 교육의원이 ‘제주4.3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준비하고 있어 결과에 관심을 모은다.

이 의원은 “4․3 특별법에 규정된 제주4․3사건에 대한 교육 활성화와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해 지역사회에서 평화와 인권의 가치가 실현되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