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공간 없이 이동하면서 전기차 충전 가능
오는 2022년부터 전국 상용화 실증 착수
2027년까지 1500만 달러 수출 달성 기대

앞으로 제주지역에서 주차공간 제약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와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원희룡)는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의 사전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본격적인 실증착수에 들어간다고 29일 밝혔다.

기존 전기차 고정식 충전방식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2차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됐으며, 전기차 이동형 충전서비스 등 4개 규제특례가 허용돼 그간 실증준비(책임보험 가입, 이용자 고지, 기업이전 등)가 착실히 이뤄져 왔다.

4개 규제특례(실증착수)는 △이동형 충전서비스(올해 7월) △충전인프라 공유 플랫폼(올해 8월) △충전 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특화 진단 서비스(내년 1월) △충전인프라 고도화(내년 1월) 순으로 진행된다.

지금까지 전기차 충전방식(개인형 제외)은 지면에 고정된 충전기를 사용하는 고정식 충전방식으로 공동주택의 협소한 주차공간에 전기차 충전 전용공간을 확보해야 했다. 아울러 설치·관리 비용도 발생해 입주자 간 갈등의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간 충전인프라 개선의 목소리가 꾸준히 대두되어 왔다.

제주 ’전기차 이동형 충전서비스‘는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탑재한 이동형 충전기를 통해서도 전기차 충전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으로, 그 동안 이동형 충전기의 경우 ’전기용품안전관리법‘상의 전기용품안전기준이 없어 전기차 충전사업자로 등록할 수 없었던 규제 빗장을 과감히 풀어준 것이다.

실증을 거쳐 전기차 이동형 충전서비스가 도입되면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충전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충전수요가 없을 때는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충전이 필요할 때만 공급할 수 있어 전력망 부하를 낮추는 데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독일·중국 등 주요 선진국들도 10~50㎾급 이동형 충전서비스 상용화에 들어가는 등 초기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시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는 ESS,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전기차 충전기, 이동형 케이스 등으로 구성돼 있다.

ESS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 6월 산업부의 안전강화 대책에 따른 관리수칙을 준수했고, ESS의 용량은 50㎾h 이하로 제한하였으며, 충전량은 BMS에 의해 70% 이하로 제어된다. 그리고 실증 전반의 안전점검은 국가표준원·전기안전공사·관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안전점검위원회가 맡아 안전관리에 빈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실증은 특구지정 시 부여된 부대조건에 따라, 1, 2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올해까지 진행되는 1단계에서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충·방전 안전, 충전 속도 등을 검증하고, 공인시험인증기관(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이동환경 특성에 맞는 안전관리방안도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내년부터 시작되는 2단계 실증은 이러한 안전관리방안을 준수해 이동환경에서 실증을 진행하게 되며, 다양한 환경에서의 검증을 위해 전기차 충전대상도 △올해 1차 전용전기차 △내년 관용차와 일반인 차량까지 순차적으로 확대된다.

이번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관련 규제가 해소되면 2022년부터 전국 상용화와 해외수출을 본격화하고, 2027년에는 1500만 달러 수출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 김희천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은 ”전국 최고의 전기차 인프라를 갖춘 제주도는 이번 실증을 통해 혁신적인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기차 보급·확산과 ‘탄소 없는 섬 제주’(Carbon Free Island JEJU) 실현을 한층 앞당기고, 초기단계에 있는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장의 국제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실증기간 내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지역 전기차 보유는 전국 11만1307대 가운데 17.7%(1만9705대)를 차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