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인구 순유출 도래…출생아수 지속적 감소
혼인 감소-이혼 증가…초고령화 사회 준비해야 할 시점

2010년대 이어진 제주살이 열풍. 그러나 지금의 제주는 인구절벽을 걱정해야 할 시점에 서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제주지역 인구는 67만793명.

2011년 1월 57만1468명 대비 10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1년에 1만명씩 증가한 셈이다.

이처럼 제주지역 인구 급증에는 제주살이 열풍으로 인한 순유입 인구의 증가. 출생아수 증가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실제 국내 인구 이동현황을 보면 2011년 2344명, 2012년 4876명, 2013년 7823명, 2014년 1만1112명, 205년 1만4257명, 2016년 1만4632명, 2017년 1만4005명, 2018년 8853명 등 가히 폭발적인 증가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순유입 인구는 2936명에 그쳤으며, 올해 1분기 568명이 순유출을 기록하며 탈제주 시대를 맞았다.

출산율 역시 2011년 5628명에서 2016년 5494명 등 5500여명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지만, 2017년 5037명, 2018년 4781명, 지난해 4509명 등 지속적 감소세가 뚜렷하다.

지난 3월에는 출생자수가 344명으로 사망자 359명 보다 적은 인구절벽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반면 사망자수는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자연적 인구증가폭을 둔화시키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혼인건수는 3358건으로 지난 10년간 최저를 기록했했지만, 이혼은 1716건으로 최고치를 갱신했다. 2011년 이혼이 1395건을 감안하면 300건 이상 증가한 셈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11년 12.6%에서 지난해 15%로 2.4%P 증가했다. 인구 대비 65세 인구 비율 14%의 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했으며, 20%의 초고령 사회에 대비해야 하는 시점이다.

앞으로의 제주지역 인구 전망 역시 밝지 않다.

앞에서 언급한 출산율과 혼인·이혼 현황, 고령화 등 통계수치를 보더라도 인구절벽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더욱이 제주도가 최근 수도권 거주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주 이주의향 조사'에 따르면 이주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절반에 달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 제주도는 2024년까지 '제주도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한다는 계획이다.

5대분야·144개 인구정책사업에 달하는 시행계획으로 관련예산만 8829억원의 막대한 혈세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를 추진하며 제주도는 "정부와 타지자체에서큰 관심을 보인 계획이며, 이미 우수사례로 지차체 워크숍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BIG3 해피아이 정책은 유례없는 지원책이다"며 자평부터 하고 있다.

인구정책은 단시간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 추진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하나의 목소리다.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을 했고 초고령사회도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첫단추부터 검토와 효과분석 등 내실있는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