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차 조사시 중국 남송시대 도자기 437점 등 확인
2일 개수제…유물 분포 파악 및 선박 잔해 조사 영역 확장

제1차 신창리 해역 조사 현장 - 수중 퇴적 모래 제거 모습./사진제공=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에 대한 제2차 발굴조사가 본격화 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2일 개수제 행사를 시작으로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에 대한 제2차 공동수중발굴조사에 착수한다.

신창리 수중유적은 지난 1983년 해녀가 조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그 존재가 알려졌다.

그해 4월 문화재청의 전신인 문화재 관리국이 수중조사를 진행해 금제장신구 2점을 추가 발굴했으며, 1997년에는 제주대박물관에서도 해역을 추가 조사해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했다.

이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2018년 수중지표조사를 통해 남송대 도자기가 분포하는 구체적 범위를 파악했으며, 지난해 이뤄진 1차 공동조사 결과 도자기 437점과 인장2점, 인장함 1점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확인된 유물들은 대부분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 중국 저장성 릉취안요에서 생산된 청자들로, 해상무역으로 발달한 제주의 옛 모습인 탐라국 말기(고려 병합 이전)의 일면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1차 수중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인장 한 점에는 인면에 '삼가 봉한다'는 의미의 '謹封(근봉)이라는 명문과 붉은 인주가 선명하게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차 수중발굴조사는 1차 조사의 연장선상에서 신창리 해저유물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연구자료도 확보하면서, 도자기를 싣고 있는 던박의 잔해를 찾는 작업들도 함께 진행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측은 "앞으로도 국립제주박물관과 함께 제주도의 수중문화유산의 현황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과거 제주해역에서 발견·신고됐거나 해녀들에 의해 구전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수중지표조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