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적 청년층 지원사업 추진, 타지역 출신 종사자 직업만족도 개선
청년정책 콘트롤 조직 설립 및 고졸취업자 활성화 계획 수립

제주지역 청년정책 사업은 타지역과 비교해 취업지원과 창업지원 부문의 사업비중이 높은 반면, 생활복지와 주거금융은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이중화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 청년취업 현황과 정책 대응 과제’ 관련 기본과제를 통해 제주지역 청년층의 고용동향, 유출입 현황, 관련 정책(중앙, 지자체) 및 대졸 청년층 노동이동 코호트 분류 및 특성 분석 등을 진행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청년층 인구(18-34세)는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8년 기준 제주지역 18~34세 연령의 청년인구는 약 12만5982명이며, 임금근로자는 7만2900명으로 91.46%, 비임금 근로자는 6800명으로 8.5% 비중을 보이고 있다.

임금 및 근로자 비중은 △100만원 미만은 12.3% △100~200만원 미만 30.7% △200~300만원 미만 45.7% △300~400만원 미만 8.8% △400만원 이상은 2.6%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청년 실업자도 약 5900명으로 추정됐다.

청년 유출입은 현황으로 제주지역의 경우 수도권 대학진학률은 19.4%, 비수도권 대학진학률은 28.6%, 출신지역 대학진학률은 52.1% 수준이다.

게다가 제주지역은 출신지역 고졸취업률은 대학진학률보다 약 2.1%p 더욱 높아 54.2% 수준을 보이는 반면 기타 5개 권역은 제주지역과 달리 출신지역 대학진학률이 고졸취업률 보다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제주지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수도권‧비수도권 지역의 대학을 진학 및 졸업 이후 제주로 회귀한 비율은 9.9%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중 교육학, 공학 전공자가 제주지역으로 회귀할 확률은 22.8%, 21.2%로 나타났다. 월평균 임금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일수록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학이 인문학보다 높았다.

현재 정부의 청년정책 사업은 크게 △학자금‧일자리‧소득‧주거지원△청년 희망사다리 강화방안 △장기근속 및 자산형성 지원 △진로탐색 △직무능력키우기 △일경험 기회 △해외취업 등이며, 지자체의 사업은 크게 △취업지원 △생활복지 △창업지원 △주거금융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제주지역에 맞는 청년고용 정책으로 △제주지역 내 청년정책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통합형 전담조직구축 필요 △제주더큰내일센터의 사업과 관련 청년범위 확대 △고졸 청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취업 활성화 방안 수립 △중앙정부 정책 연계형 사업 추진 등을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