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생태계 변화 보고서 발간
조사결과 “생태계 전반에 유의미한 변화와 피해 확인”
“장기연구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기후위기 전담부서 필요”

사진 왼쪽 외도해안가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도로를 침범하고 잇다. 오른쪽 신엄 바닷가 갯녹음 현상

제주지역에 온난화로 인해 아열대성 조류·어종의 출현빈도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가 사회적 문제로 쟁점화되고 있다.

29일 제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도내에서 이뤄지고 있는 기후위기로 인한 생태계 변화 연구를 수집 조사해 도민사회에 보다 쉽게 기후위기 상황을 알리기 위해 ‘2019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생태계 변화 보고서’를 지난 15일 발간했다. 조사는 지난해 9~12월까지 실시됐다.

제주지역은 기후변화로 인해 한라산에서 해양까지 생태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와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조사결과에서 제주도의 기후변화가 실제로 제주도의 많은 것들을 바꿔놓고 있으며 그 변화가 매우 심각한 것임을 확인했다. 특히 △빈번해진 아열대성 조류의 출현 △아열대성 어종의 출현빈도 증가 △홍조류 확산에 따른 갯녹음 심화 △구상나무 등 아고산대 식물 피해증가 △조릿대의 고지대 점령 △벚꽃의 개화시기 변화 △양서류의 이른 산란시기 도래 등 대표적으로 확인된 생태계 변화 사례이다.

제주 벗나무 개화시기 변화

이런 변화는 단순히 생태계에서만 끝나는 문제가 아니라 농업과 수산업에 직접 피해로 나타나고 있다. 농업의 경우 병해충 문제와 외래 작물 등의 도입이 농업과 생태계에 공동으로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이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기후 변동성 증가로 농업피해에 대한 사전 예측이 어려워진 사실을 확인했으며, 아열대 작물 재배 면적이 증가에 따른 지역 내 농업구조조정의 문제도 나타났다. 수산업의 경우도 해수 온도 상승으로 아열대성 어종 출현빈도가 늘어나고 기존의 선호어종이 수온 변화로 이동함에 따라 어업활동에 악영향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근해의 경우에도 해수 온도 상승 등의 원인으로 해조류의 감소하고 갯녹음을 불러오는 홍조류가 증가함에 따라 소라, 조개, 전복 등이 생산량 감소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외에 눈에 띄는 사실은 폭풍의 빈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풍속 13.9m/s 이상일 때 폭풍으로 분류하는데 제주도의 폭풍 일수는 기후변화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내 대기 정체가 극심해지고 있다. 이는 기후변동이 급격히 일어나고 있고 이런 기후변동이 결과적으로 생태계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대기 정체로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에 매우 취약해졌고 풍력발전에도 불리한 지역이 되어 가고 있음을 보고서를 통해 알수 있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러한 기후위기는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막을 수 없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기후위기에 취약한 분야를 우선 찾아내고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따라서 분야별로 분산된 연구를 통합하고 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를 장기적으로 해 나갈 수 있는 예산과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제주도가 한반도 기후위기의 최전선인 만큼 생태계 변화를 통합 연구하는 국립기관의 설립 역시 요구되고 있다”며 “그리고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 해줄 기후위기를 전담할 부서의 설립도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