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심리지원체계 구축 등 일상생활 빠른 복귀 지원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도입으로 더욱 안전한 지역 재건

지난해 11월 제18호 태풍 '미탁'으로 서귀포시 성산 신풍리 일대 주택파손 등 피해를 입은 이재민에게 복구작업을 도와주고 있는 자원봉사자들

최근 기후변화, 도시화 등의 확대로 인해 재해 규모가 대형화되고, 피해양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앞으로의 재난관리체계는 재해 발생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역량(리질리언스(resilience, 회복탄력성))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은 22일 발간된 기본과제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에서 이같이 밝혔다.

제주지역은 인구 유입‧관광객 증가, 개발사업 급증 등 재난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또한 섬지역인 제주는 재해 발생시 교통수단 단절로 고립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회복 및 복구를 위한 방안들을 마련해놓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외 리질리언스 강화 사례, 제주지역의 재해 여건과 제한사항 등을 조사해 본 제주지역의 재난안전관리체계 개선사항으로는△고립상황을 고려해 지역내 가용한 자원을 DB화하여 운용방안 마련 △재해 발생후 피해자들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체계, 의료‧심리지원체계 등 일상생활로의 빠른 복귀를 위한 관련 대책 보완 △재해 발생지역의 복구시 단순한 원상복구가 아닌 재해예방형 도시계획‧설계기법 등을 적용하여 더욱 안전한 지역으로 재건될 수 있도록 도시정책과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DB화하여 운영체계를 마련해놓는 것이 중요하다”며 “미래의 불확실한 재해에 대비하여 재난관리체계는 지역내 개별 자원에 연속성을 부여하여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탄력적‧협력적 방안을 보완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