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저지비상도민회의 "관제탑 신축, 인력충원 나서야"

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19일 성명을 통해 "제주공항 관제시스템 전면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관제탑 신축과 동시에 첨단 항공관제시스템 도입과 인력충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상도민회의는 "제주공항의 활주로 수용력이 시간당 40회에 이르지만 관제 시스템의 낙후로 인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오랫동안 지속돼 왔다"며 "등 떠밀려 추진하는 인상을 주지만 그나마 이제 첫 단추를 꿰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문제는 관제탑의 신축만으로는 현 제주공항의 활주로 수용능력을 신장시키진 못한다는 점"이라며 "국토부는 이번 제주공항 관제동 신축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용역까지 진행했으나 관제동 신축보다 더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항공교통 관제장비 시스템 개선작업 계획이 아직도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작년에 삭감된 국토부 예산안 중 내구연한이 지난 관제장비 교체 예산이 338억원으로 관제탑 신축 예산 212억원 보다 많았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상도민회의는 "관제탑 신축은 2023년으로 앞으로 4년 후에 완공된다. 인력 충원부터 관제장비 충원까지 전반적인 항공관제시스템 개선의 과제가 산적했다"면서 "먼저 관제장비의 시급한 개선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인천공항이 3년 7개월에 걸쳐 도입한 항공교통 흐름관리 시스템은 항로기상과 항공기 운항성능, 비행계획에 따라 도착하는 항공기에 자동으로 최적의 운항경로와 분리간격을 제공해 항공기가 공중에 머물러 있는 일 없이 착륙할 수 있게끔 한다"며 "출발 항공기에 대해서도 지상조업, 항로, 목적지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출발허가를 관리한다. 수동으로 사람이 관리하는 '위험요소'가 없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천공항은 도입하는데 제주공항이 도입하지 않는 것은 제2공항을 염두에 둔 국토부의 의지 부족 말고는 이유가 없다"고 비난했다.

또한 "인천공항이 추진했던 것처럼 항공관제와 지상관제를 별도로 분리 운영하면서 통합하는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인천공항처럼 항공관제와 지상관제를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 신축 관제탑에서 항공관제를 총괄하고 기존 관제탑을 지상관제소로 활용,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관제 운영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항공관제탑의 비상시를 대비해 지상관제소를 항공관제까지 운용할 수 있는 백업 관제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인력과 장비를 충원해야 한다"며 "관제동 신축 기본계획에도 나왔지만 현재 제주공항 관제인력은 30여명 이상 더 충원돼야 하며 새로운 관제장비와 시스템을 대비한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들은 "제주공항은 인천공항에 이어 국내 2위의 항공기 운항과 공항이용객이 몰리는 곳"이라며 "현 제주공항의 관제시설 개선과 현대화를 통한 공항 수용능력 개선은 이미 지난 2015년 제주 공항인프라 사전타당성 용역 당시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제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항의 관제시스템 개선과 현대화를 통해 국민의 안전과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은 채 공항 하나를 더 지어서 국민혈세를 이용해 지역주민을 내쫓고 환경을 훼손하면서까지 단박에 해결하려는 주먹구구식 항공정책은 이제 폐기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