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에 최종 반영... 8월 2일자로 지정·고시
탐라국 천년 해양관광 실크로드 기반 마련

제주신항만 건설 사업이 정부로부터 최종 확정돼 추진된다. 제주신항만 조감도

제주신항만 건설이 정부로부터 최종 확정되면서 사업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제주신항은 동북아시아 내에서도 가장 크게 조성되며 총 2조 8662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며 오는 2040년 완공을 목표로 2단계 사업으로 나눠 진행된다

정부는 국제해양관광을 선도하게 될 제주신항 건설사업은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한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을 심의・확정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제주신항만 개발 사업을 포함한 항만기본계획*을 8월 2일자로 지정·고시할 계획이다.

제주신항만 건설은 초대형 크루즈와 여객부두 일원화를 통해 연간 400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하는 해양관광 허브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이는 해양관광지 제주의 관광 잠재력을 배가하고, 기항 크루즈 수요급증에 대비한 동북아의 고품격·친환경 크루즈 모항육성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신항만건설촉진법'에 따라 지정·고시되는 제주신항 개발은 오는 2040년까지 총 2조8,662억 원을 투입해 제주시 삼도동, 건입동, 용담동 일대에 외곽시설(방파제 2.82km, 호안 2.09km)과 접안시설(크루즈 4선석, 여객 9선석), 항만 배후부지(823천㎡)와 도로(0.325km) 등을 확충한다.

개발방향은 크게 3가지로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 ▲해양관광 클러스터화 ▲항만과 도시 간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 등이다.

오는 2040년까지 총 2조8,662억 원을 투입해 제주시 삼도동, 건입동, 용담동 일대에 외곽시설(방파제 2.82km, 호안 2.09km)과 접안시설(크루즈 4선석, 여객 9선석), 항만 배후부지(823천㎡)와 도로(0.325km) 등을 확충한다.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은 대형 크루즈부두(22만GT급 등) 4선석 및 국내·국제여객 부두 건설 9선석 등 여객부두 특화사업으로 해양관광 클러스터화는 크루즈 및 국내 여객부두 인접 배후부지를 확보해 상업·문화·관광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항만과 도시 간의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은 제주신항과 내항 재개발을 연계한 수림대(Eco-Zone)*를 조성해 미세먼지 저감과 소음·공해예방 및 배후도시와 공존을 추구한다. 도심과 근접한 배후단지 구역에 조성하는 녹지사업을 추진한다

앞에서 제주도는 도는 이번 신항만 지정‧고시를 위해 중앙 절충에 힘을 쏟아왔다.

제주신항이 지정·고시돼 사업의 법적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크루즈 여객 유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국비확보, 환경영향평가 및 어업권 보상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협력 도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제주신항 개발은 앞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시행과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어업보상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

조동근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그동안 제주항은 선석 부족으로 다른 지역의 항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면서 "지난 2015년부터 자체 계획을 수립해 왔고, 2016년에 신항만 계획을 고시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으나 2017년께 사드 영향으로 기재부로부터 거부되면서 늦춰졌다"고 말했다.

제주신항만건설사업 계획을 조동근 해양수산국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이어 조동근 국장은 "이제 제주신항이 완공되면 직접적인 경제효과 외에도 크루즈 허브항만으로서 구도심 활성화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면서 정상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제주신항이 완공되면 직접 경제효과 외에 항만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은 물론 구도심 활성화와 국제크루즈 거점항만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