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열, 동학농민혁명부터 이어지는 역사성 강조
‘해방공간 희생양 현재화’ 위한 ‘4.3절’ 제정등 제안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제안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명예교수는 “‘제주4.3’, 해방공간의 희생양”이라는 기조강연에서 “제주4.3은 1차적으로 친일세력과 ‘육지세력’에 대한 저항적 성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자주적 성격과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또, “여기에다 제주도민은 1948년 5.10선거와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해 왔는데, 이는 제주4.3이 바로 통일에 대한 열망과 상통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논거로 이 명예교수는 “제주4.3에서 ‘자주’와 ‘통일’의 이념을 추출할 수 있다면, 비록 바다로 폐쇄된 공간에서이지만 제주4.3은 4.19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 운동으로 개념화할 수는 없을까”라고 물었다.

이 경우 “제주4.3은 동학농민혁명에서 일제강점기의 3.1운동을 거쳐 해방공간의 제주4.3,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화운동 및 촛불혁명과 궤를 같이 하는 한국 근현대사의 위대한 운동선상에서 자리매김하여 역사화할 수 있지 않을까”라며 조심스럽게 제안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명예교수는 이어 “제주4.3은 일종의 ‘희생양’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규정했다.

“냉전체제의 희생양이었고 분단의 희생양이었으며, 육지와 도서 사람의 차별에서 오는 희생양이었다”고 분석했다.

이 명예교수는 과거 제주도민들이 겪은 이러한 “‘고난의 때’, ‘광야의 때’를 잊지 않아야 한다”고 한 뒤 “제주 공동체는 4.3의 자기정체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민일보=조문호 기자]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8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외신기자가 본 4.3’ 세션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제주4.3사건은 4.19혁명에 앞서는 ‘자주’와 ‘통일’의 운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위대한 민중운동으로 역사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이 명예교수는 “지방정부적 차원에서는 아직 ‘4.3절’이 제정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주객의 본말”이라고 꼬집었다. 제주도에서 4.3을 지방공휴일로 추진하는 노력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이를 “4.3을 ‘현재화’하는 작업”이라고 본 이 명예교수는 “4.3을 현재화하면서도 놓치지 않아야 할 것은 냉전체제·분단·이념적 대결 속에서도 4.3의 희생양적 성격을 ‘화해와 상생’으로 부활시켜 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화해와 상생’을 상징화할 수 있는 행사, 구조물, 예술 활동을 창조해가는 것도 과제”라고 짚은 이 명예교수는 “이러한 상징화의 노력들은 희생양을 각인하는 것이다. 그런 각인을 통해 4.3이 해원되고 트라우마도 치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